한경연 "10년간 韓 청년인구 7.3% 줄었는데…실업자는 28.3%↑"

입력 2019-12-09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9일 '청년 고용지표 OECD 비교 분석' 보고서 발표

▲한경연에 따르면 한국의 청년실업률은 2008년 7.1%에서 지난해 9.5%로 올랐다. OECD 내 순위도 11위에서 22위로 하락했다.  (출처=한경연)
▲한경연에 따르면 한국의 청년실업률은 2008년 7.1%에서 지난해 9.5%로 올랐다. OECD 내 순위도 11위에서 22위로 하락했다. (출처=한경연)

최근 10년간 한국의 청년 인구는 7% 줄어든 반면, 실업자는 28%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경향성을 보인 나라는 OECD 36개국 중 한국 포함 6개국뿐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2008년부터 2018년까지 10년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의 청년 고용지표를 분석한 결과 한국 청년인구(15~29세)는 986만8000명에서 ‘지난해 914만9000명으로 7.3% 감소했다며 9일 이같이 밝혔다.

OECD 평균 인구증가율 -1.6%보다 낮은 수준이다.

이 기간 청년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나라는 미국(265만4000명)이었다. 가장 많이 감소한 나라는 일본(-251만 명)이다.

청년경제활동인구 기준으로는 2008년 445만6000명에서 지난해 431만2000명으로 3.2% 줄었다.

OECD 순위로는 10위에서 9위로 1단계 올랐다. 10년간 경제활동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나라는 터키(106만7000명), 감소한 나라는 스페인(-195만7000명)이다.

같은 기간 청년실업자 수는 31만8000명에서 40만8000명으로 28.3% 늘어났다.

OECD 내 실업자 순위는 24위에서 26위로 2계단 떨어졌다.

10년간 실업자가 가장 많이 감소한 나라는 미국(-132만5000명), 가장 많이 늘어난 나라는 터키(27만 명)였다.

(출처=한경연)
(출처=한경연)

종합해 보면 한국의 경우 청년인구가 7.3% 감소하는 동안 청년실업자가 28.3%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같은 기간 OECD 국가 전체 청년인구는 1.6% 감소했고, 청년실업자도 13.9% 줄어든 것을 고려하면 이례적이라고 한경연 측은 분석했다.

한국과 같은 경향을 보인 나라는 OECD 36개국 중에서 한국 포함 6개국(한국ㆍ그리스ㆍ이탈리아ㆍ프랑스ㆍ핀란드ㆍ터키)뿐이다.

한국은 이 중에서도 실업자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증가율도 재정위기를 겪은 이탈리아, 그리스에 이어 세 번째였다.

이와 맞물려 청년실업률도 7.1%에서 9.5%로 올랐다. OECD 내 순위도 11위에서 22위로 하락했다.

실업률이 2%포인트(p) 이상 오른 나라는 재정위기를 겪은 나라를 제외하면 한국 포함 3개국(한국 2.4%p, 덴마크 2.7%p, 프랑스 2.6%p)뿐이다.

OECD 평균 청년실업률은 10.4%에서 9.1%로 1.3%p 떨어졌다.

청년 경제활동참가율은 2008년 45.2%에서 지난해 47.1%로 1.9%p 높아졌다. OECD 내 순위는 35위에서 34위로 1단계 올랐다.

청년고용률은 41.9%에서 42.7%로 0.8%p 증가했다. OECD 내 순위는 31위에서 32위로 1단계 떨어졌다. 지난해 한국의 청년고용률은 OECD 평균 청년고용률(54.0%)보다 10%p 이상 차이가 나며, 고용률이 제일 높은 국가(아이슬란드 78.7%)와는 36%p의 격차를 보인다.

고용률이 한국보다 낮은 나라는 최근 국가비상사태를 겪고 있는 국가(칠레)와 심각한 재정위기를 겪은 PIGS 중 3개국(스페인ㆍ이태리ㆍ그리스) 등 4개국에 불과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 충격 아직 안 끝났나…비트코인, 8만4000달러로 하회 [Bit코인]
  • HLB, 간암 신약 FDA 승인 불발…“2차 보완요구서한 수령”
  • '무승부' 오만전, 업혀 나간 이강인…부상 정도는?
  • 글로벌 기관은 가상자산 투자 늘린다는데…국내는 법인참여 ‘속도’ 혼선
  •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오늘(21일) 3막 9~12화 공개 시간은?
  • 인도네시아 팬들이 '신태용'을 1만 번이나 외친 이유
  • 젠슨 황 "삼성 그래픽 메모리 최고"…다시 한번 친필 사인
  • MBK가 쏘아올린 공, 속도붙는 PEF 규제 [사모펀드의 늪⑤]
  • 오늘의 상승종목

  • 03.21 13:1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999,000
    • -0.61%
    • 이더리움
    • 2,929,000
    • -1.18%
    • 비트코인 캐시
    • 492,000
    • -3.15%
    • 리플
    • 3,593
    • -1.07%
    • 솔라나
    • 189,700
    • -2.97%
    • 에이다
    • 1,064
    • -0.37%
    • 이오스
    • 818
    • -2.39%
    • 트론
    • 343
    • +0.59%
    • 스텔라루멘
    • 421
    • +1.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800
    • -1.36%
    • 체인링크
    • 20,950
    • -2.65%
    • 샌드박스
    • 424
    • -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