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하던 우리나라 인구, 외국인이 덕에 증가

입력 2019-08-29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도별 총 인구 및 연평균증감률.(출처=통계청)
▲연도별 총 인구 및 연평균증감률.(출처=통계청)

추락하던 우리나라 거주 인구를 외국인이 끌어 올렸다. 내국인 증가는 3만 5000명(0.1%)에 그쳤지만, 외국인은 17만 2000명(11.6%) 증가하며 전체 인구 증가 21만 명(0.4%)을 이끌었다.

통계청은 작년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 거주 인구(외국인 포함)는 5163만 명으로 2018년 5142만 명 대비 21만 명 늘었다는 내용의 ‘2018 인구주택총조사(등록센서스 방식 집계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전년 대비 내국인은 3만 5000명 증가한 4998만 명, 외국인은 17만 2000명 증가한 165만 명으로 집계됐다. 성별은 남자가 11만 명 늘어난 2588만 명, 여자가 10만 명 늘어난 2575만 명이다.

시도별로는 인구 비율은 경기도가 전체의 25.4%(1310만 명)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서울(18.7%), 부산(6.6%), 경남(6.5%) 순이다. 수도권(서울·인천·경기) 인구는 2571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49.8%를 차지하며 전년 2552만 명 대비 19만 명(0.8%) 증가했다.

증가율은 세종이 12.9%로 가장 높았고 제주(2.6%), 경기(2.0%)가 뒤를 이었다. 감소율은 대전(-1.0%), 서울(-0.7%), 부산(0.6%) 순이다.

내국인 유소년(0~14세) 인구와 생산연령(15~64세) 인구는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증가했다.

전년 대비 유소년 인구는 648만 명으로 0.3%P 떨어진 13.0%, 생산연령인구는 3610만 명으로 0.3%P 떨어진 72.2%를 기록한 반면 고령인구는 739만 명으로 0.6%P 올랐다. 내국인 중위연령은 43.1세로 전년 42.4세보다 증가했다.

외국인 국적은 한국계 중국 32.2%, 중국 13.0%, 베트남 10.2%, 태국 9.1%, 미국 4.0%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증가가 큰 국적은 태국 5만 8000명, 한국계 중국 3만 4000명 순이다.

우리나라 인구 증가율은 2015년 0.5%에서 2016년 0.4%, 2017년 0.3%로 감소한 뒤 지난해 0.4%로 증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0세 시대, 은퇴 파산 막으려면 '4% 법칙' 지켜야"[2025 생애주기 맞춤 콘서트]
  • 정부, 소상공인 재기 지원에 1조4000억 투입
  • 대한민국 브랜드스타 송혜교…그가 사는 집은? [왁자집껄]
  • 김남주, 스무살 된 딸 라희 공개⋯엄마 웨딩드레스 입고 뽐낸 자태
  • 삼성 차기 갤럭시Z 시리즈 언팩 앞두고…애플 폴더블 아이폰 루머 '솔솔'
  • 브레이크 없는 서울 집값…분당·과천까지 '불장' 확산
  • 2025 프로야구 포스트시즌 진출팀은? feat. 피타고리안 승률 [그래픽 스토리]
  • '우리동네는 내가 지킬개' 동네지킴이 반려견순찰대 [포토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789,000
    • -0.26%
    • 이더리움
    • 3,469,000
    • -0.29%
    • 비트코인 캐시
    • 674,500
    • +5.56%
    • 리플
    • 2,992
    • +0.44%
    • 솔라나
    • 199,900
    • -0.79%
    • 에이다
    • 825
    • +0.12%
    • 트론
    • 381
    • +1.33%
    • 스텔라루멘
    • 345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590
    • +3.29%
    • 체인링크
    • 18,030
    • +1.18%
    • 샌드박스
    • 349
    • -0.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