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경제연구원 "올 성장률 2.8% 그쳐… 내년에는 더 낮아져"

입력 2018-05-03 14: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LG경제연구원은 올해 경제성장률이 2.8%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내년에는 2%대 중반까지 내려갈 것으로 관측했다.

LG경제연구원은 3일 발표한 '2018년 국내외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성장률이 1분기에는 기저효과로 높아졌지만 2분기부터는 1%를 넘기기 어렵고 하반기로 갈수록 낮아지는 모습이 될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내년 이후에도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감소와 생산성 저하 효과가 더욱 확대돼서 중기적으로 성장 저하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원은 올해 세계 경제가 높은 성장세를 보이겠지만 국내 경제는 성장률이 떨어질 것으로 봤다. 국내 투자는 세계 투자를 선행하는 모습으로, 지난해 대규모 투자가 이뤄져서 올해는 증가속도가 크게 낮아질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반도체 단가상승세도 올 하반기에는 멈추면서 기업들이 가격 급락을 막기 위한 생산능력 조절에 나설 것으로 예상했다. 이 밖에 자동차는 수출과 내수 전망이 어둡고 통신기기와 가전 등은 미국 통상압력 확대 등으로 해외생산 비중이 늘고 있다. 디스플레이는 중국업체들의 물량 밀어내기로 단가가 크게 하락했다.

취업자 수 증가는 지난해 31만명에서 1분기 18만명까지 줄었고 올해는 20만명 수준으로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원은 구조적 요인인 고령화와 함께 최저임금 상승도 올해 고용부진 원인으로 지적했다.

미중 무역갈등은 수시로 불거질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미국 무역적자가 구조적이고 복합적인 요인에 기반하므로 중국 개방조치만으로는 적자 폭을 줄이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미 금리인상은 4차례 가능성이 좀 더 높지만 한은 기준금리 인상은 하반기에 한 차례 정도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한미 금리역전 폭은 연말에는 0.5%p∼0.75%p까지 커지지만 대규모 자본유출이 현실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국내 시중금리는 미 금리 동조화 영향으로 한은 기준금리보다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회사채 금리(AA-,3년)를 지난해 평균 2.3%에서 올해 3.0%로 봤다.

원화는 다른 주요 통화대비 절상 폭이 가장 클 것으로 추정했다.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를 감안할 때 원화가 여전히 저평가됐다는 인식이 강한 데다 대외신인도 개선을 배경으로 외국인 투자가 순유입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외환당국 개입도 쉽지 않은 환경이어서 원/달러 환율 평균이 지난해 1131원에서 올해 1060원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원은 남북 평화협상 기대감이 크게 확산하면 원화 절상폭이 더 확대될 수 있다고 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글로벌 자산운용사, ETF로 비트코인 100만 개 확보…마운트곡스, 부채 상환 임박 外 [글로벌 코인마켓]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50,000
    • +0.24%
    • 이더리움
    • 5,212,000
    • -1.7%
    • 비트코인 캐시
    • 646,000
    • +0%
    • 리플
    • 724
    • -0.41%
    • 솔라나
    • 230,300
    • -2.79%
    • 에이다
    • 624
    • -1.89%
    • 이오스
    • 1,109
    • -1.25%
    • 트론
    • 155
    • +0.65%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650
    • -0.93%
    • 체인링크
    • 25,510
    • +0.51%
    • 샌드박스
    • 609
    • -3.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