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3월 FOMC 다소 매파적이나 예상부합, 국내시장 별 영향없을 듯”(상보)

입력 2018-03-22 08:25 수정 2018-03-22 11: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가격변동 커질 가능성 주시·대응할 것..최근 외인 채권매도 내외금리차 따른 유출 아냐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금리를 인상했지만 금리인상 경로인 점도표를 보면 금년전망은 종전예상에 부합했고 내년은 상향조정했다. FOMC 결정이 다소 매파적으로 해석되지만 시장예상에 부합하면서 미국 금융시장도 큰 변동이 없었다. 국내 금융시장에도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본다.”

(한국은행)
(한국은행)
이주열<사진> 한국은행 총재는 22일 서울 태평로 한은본관 1층 로비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한미 금리가 역전된 만큼 경각심을 갖고 지켜볼 것”이라면서도 “국내 금리인상 시기는 변수가 많다. 다음달에 경제전망을 내놓을 예정으로 경제흐름을 짚어봐야 한다. 여러 가지를 놓고 고민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연준이 정책금리를 기존 1.25~1.50%에서 1.50~1.75%로 25bp(1bp=0.01%포인트)인상하면서 한은 기준금리(1.50%)와 역전됐다. 이는 2007년 9월 이후 10년만이다. 다만 과거 두 차례 금리역전기가 있었고 최대 175bp까지 역전되기도 했었다.

이 총재는 “역전폭을 언제까지 (얼마만큼까지 둬도) 무방할지는 예단해서 말하기 어렵다. 과거 두 차례 금리역전이 있었고 175bp까지 역전되기도 했다. 그때 경제상황과 여건이 반영된 결과”라며 “지금과 그때는 경제여건이 달라 몇%까지는 위험하고 (혹은) 안전하다 말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다만 지난 2월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이 유출되면서 금융변동성이 커진 경험을 한만큼 경계감은 여전하다고 봤다. 이 총재는 “2월 경계감이 커져 금융시장 가격이 요동친바 있다. (연준 금리인상) 진행에 따라 이같은 상황이 다시 부각될 가능성이 있다”며 “종전보다는 더 각별히 지켜볼 수밖에 없다. 예의주시하고 시장불안상황이 온다면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채권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이 대량으로 빠져나간 것과 관련해서는 본격적인 자본유출로 보지 않았다. 이 총재는 “지난달에 주가가 하락하면서 주식자금을 중심으로 외국인 자금이 나갔다. 이 이후 안정을 찾았고 이달만 보면 안정적으로 자금이 유입되는 상황이다. 내외금리차에 따른 유출로 보는 것은 이르다”면서도 “(외국인 자금 변화에 대해) 데일리 베이스(매일매일)로 유의있게 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은은 이날 아침 8시 이 총재 주재로 통화금융대책반회의를 소집하고 FOMC 결과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반응 및 평가, 향후 인상속도에 대한 전망, 국내 금융경제에 미칠 영향 등을 점검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2:0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142,000
    • -0.97%
    • 이더리움
    • 5,237,000
    • -1.62%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1.07%
    • 리플
    • 730
    • +0%
    • 솔라나
    • 235,700
    • +0.08%
    • 에이다
    • 629
    • -1.26%
    • 이오스
    • 1,128
    • +0.45%
    • 트론
    • 155
    • +0.65%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700
    • -0.74%
    • 체인링크
    • 26,180
    • +3.27%
    • 샌드박스
    • 622
    • -0.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