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연준 의장 취임…“지속적인 경제 성장 이룰 것”

입력 2018-02-06 10: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임기 시작날 증시 패닉, 파월 어깨 무거워져

▲5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신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취임 선서를 하기 위해 연준 본부를 찾았다. 워싱턴D.C/AP연합뉴스
▲5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신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취임 선서를 하기 위해 연준 본부를 찾았다. 워싱턴D.C/AP연합뉴스

제롬 파월 신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5일(현지시간) 공식 취임했다. 이날 뉴욕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해 파월 의장은 취임과 동시에 시험대에 올랐다고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이날 파월 의장은 연준에서 취임 선서를 했다. 그는 “오늘날 실업률은 낮고, 경제는 성장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율은 낮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며 “우리는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건전한 고용 시장, 가격 안정을 이룰 수 있는 통화 정책을 펼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고공행진을 이어오던 증시는 이날 급락해 점진적인 금리 인상을 과제로 떠안은 파월 의장의 어깨가 더 무거워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이날 파월 의장은 증시 패닉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취임하자마자 큰 위기를 겪은 대표적인 연준 의장은 앨런 그린스펀이다. 그린스펀 전 의장은 당시 취임 2개월 만에 블랙먼데이를 맞았다. 블랙먼데이는 1987년 1월 19일 하루 만에 다우지수가 22.6% 빠진 날을 뜻한다.

높은 임금 상승률에 따른 인플레이션 회복이 긴축 압박을 가속할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지난달 미국의 시간당 임금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 상승했다. 2009년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셈이다. 오레곤대학의 팀 듀 거시 교수는 높은 임금이 경제 과열을 몰고 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경기과열을 우려해 연준은 금리 인상에 속도를 높일 것”이라며 “최근 미국의 경제 지표는 1990년대 후반 이후 우리가 보지 못했던 강한 회복세를 나타낸다”고 진단했다. 또 “임금 상승률이 나타내는 것은 우리 생각보다 경제 회복 속도가 빠르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NYT는 이날 주식시장에서 발생한 패닉은 아직 작은 규모라고 진단했다. 캐피탈이코노믹스의 존 히긴스 이코노미스트는 “주식 시장에서 큰 침체가 확실해지지 않는 한 파월 의장은 시장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HBM이 낳은 참극...삼성전자·SK하이닉스 동조화 깨졌다 [디커플링 두 회사 ②]
  • 하는 곳만 하는 시대 지났다…너도나도 슈퍼리치 리테일 사활[증권사 WM 대전]①
  • 텔레그램 기반 낫코인, 비트코인 혼조 속 일주일간 345% 뛰며 시총 50위권 안착 [Bit코인]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제네바 모터쇼…폐지되는 5가지 이유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김호중 천재적 재능이 아깝다"…KBS에 청원 올린 팬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14:3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574,000
    • +0.74%
    • 이더리움
    • 5,319,000
    • -0.28%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38%
    • 리플
    • 721
    • -0.55%
    • 솔라나
    • 229,500
    • -1.25%
    • 에이다
    • 629
    • -0.63%
    • 이오스
    • 1,137
    • -0.18%
    • 트론
    • 157
    • -1.26%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100
    • +0.06%
    • 체인링크
    • 25,290
    • -1.71%
    • 샌드박스
    • 652
    • +4.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