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개막] 日 닛케이 “차기 정부, 북한·중국·미국 관계 개선 등이 난제 ”

입력 2017-05-10 09: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0일(현지시간) 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에 주목했다. 출처 = 니혼게이자이신문 홈페이지 캡쳐.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0일(현지시간) 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에 주목했다. 출처 = 니혼게이자이신문 홈페이지 캡쳐.

여러 난제를 안고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이 이끄는 한국의 새 정부가 출범하게 됐다고 10일(현지시간)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닛케이는 한국의 유권자들이 지난 9년간 정권을 잡았던 보수 세력에 불만을 표하며 진보 성향의 문재인 후보를 차기 대통령을 선택했다고 보도했다. 또 불평등과 대북 긴장 관계에 대한 우려가 커진 것도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후보를 당선으로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닛케이는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의 소감을 전했다. 문재인 당선인은 “국민을 단결시키는 대통령”이 될 것이라며 “정의와 원칙이 우선시되는 새로운 국가 건설”을 선언했다. 또 자신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들과도 힘을 합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문 당선인은 “경쟁하던 후보들과도 함께 손잡고 앞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닛케이는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에 주목했다. 문 당선인이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에 신중한 입장인 만큼 대북정책에서 유화책을 쓸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동시에 문 당선인은 2015년 일본 정부와 한국 정부가 단행한 위안부 합의를 재협상하길 원하기 때문에 일본과의 관계가 악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이 당면한 문제는 무엇보다 경제 부문이라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한국의 국민총생산(GDP) 성장률이 지난 4년간 2%대에 머물렀고 작년 15~29세 청년실업률은 9.8%라고 전했다. 이 때문에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은 유세 기간에 청년 실업 문제 해결과 경제 살리기를 계속 주장했다.

닛케이는 차기 정부가 미국, 중국과의 관계에도 집중해야 한다고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최근 한국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을 시사하면서 변수가 많아졌다는 설명이다. 중국과 관계에서는 사드 문제가 남아있다. 닛케이는 한국의 현대경제연구원을 인용, 중국의 지속적인 보복으로 한국의 자동차, 화장품 및 관광 산업 분야에서 연간 8조5000억 원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했다. 차기 한국 정부가 중국과 미국, 두 강대국 사이에서 도전에 직면해 있다는 의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227,000
    • +0.47%
    • 이더리움
    • 5,313,000
    • -0.21%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23%
    • 리플
    • 725
    • -0.41%
    • 솔라나
    • 231,100
    • -1.37%
    • 에이다
    • 633
    • +0.8%
    • 이오스
    • 1,140
    • +0.18%
    • 트론
    • 161
    • +2.55%
    • 스텔라루멘
    • 0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550
    • -0.18%
    • 체인링크
    • 25,890
    • -0.46%
    • 샌드박스
    • 627
    • +3.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