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시총 ‘1조 클럽’ 16종목… 연초 대비 23% 감소

입력 2016-09-27 10: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변동성 장세속 CJ오쇼핑 등 7곳 탈락…16개 중 6개 제약·바이오 ‘강세’ 여전

우리 증시가 변동성 장세에 출렁이는 가운데 코스닥 시장의 시가총액 ‘1조 클럽’이 연초 대비 2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종가 기준 시가총액 1조 원 이상을 기록한 코스닥 상장사는 총 16개사로 집계됐다. 올해 초(1월 4일) 21개사와 비교하면 5곳이 줄어든 것이다.

이 중 시총이 불어난 기업은 셀트리온과 코미팜 등 6곳에 불과하다.

코스닥 시총 1위는 부동의 셀트리온(12조7899억 원)이 차지했다. 시총은 연초(10조289억 원) 대비 27.5% 증가했다. 셀트리온은 류머티즘 관절염 치료제 ‘램시마’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판매 허가 획득 등 바이오시밀러 분야의 선전을 바탕으로 연간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반면, 2위 카카오(5조5764억 원)의 시총은 20% 가까이 쪼그라들면서 대장주와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카카오는 O2O(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가 기대만큼의 성과를 달성하지 못하면서 부진한 주가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밖에 CJ E&M(2조8894억 원), 메디톡스(2조5341억 원), 코미팜(2조3049억 원), 로엔(1조9348억 원), 바이로메드(1조7639억 원), SK머티리얼즈(1조6095억 원), 휴젤(1조5238억 원) 등이 뒤를 이었다.

‘1조 클럽’에 새로 이름을 올린 기업은 휴젤과 솔브레인, 원익IPS 등 3곳이다. 동서, 이오테크닉스, 코데즈컴바인, 오스템임플란트, CJ오쇼핑, 콜마비앤에이치, 씨젠 등 7곳은 탈락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16개 기업 중 6곳이 제약·바이오업종으로 나타나 코스닥의 제약·바이오주 강세가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바이오의약품 전문기업 휴젤은 ‘1조 클럽’ 중 연간 가장 높은 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휴젤의 현 주가는 46만4000원으로 올해만 144% 뛰었다.

그러나 시총 4위 메디톡스를 비롯해 바이로메드, 코오롱생명과학 등의 시총은 눈에 띄게 감소했다. 바이로메드는 7363억 원 줄어들었으며, 메디톡스와 코오롱생명과학은 각각 3535억 원, 647억 원 빠졌다. 코스닥 시장을 달구던 제약·바이오업종의 주가 조정이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셈이다.

하반기 들어 반도체 업황이 뚜렷하게 개선되면서 반도체주의 선전도 눈길을 끈다. SK머티리얼즈는 시총 10위권으로 올라섰으며, 솔브레인과 원익IPS는 시총 1조 원을 돌파했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최근 2~3년간 큰 폭으로 오른 제약·바이오주에 대한 옥석 가리기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하며 “시총 상위 종목의 면면을 들여다보면 결국 변동성 장세 속에서도 실적이 주가의 열쇠란 점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날 코스닥 지수는 686.76을 기록해 연초 686.76에서 1.32% 증가했다. 코스닥은 4월 700선을 돌파한 후 7월에는 710선에 바짝 다가갔으나 이후 박스권에서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 비밀번호가 털린 사실을 뒤늦게 알았습니다…어떻게 해야 할까요?
  • 이스라엘군 “가자지구서 인질 4명 구출”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대한의사협회, 9일 ‘범 의료계 투쟁’ 선포 예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999,000
    • -0.35%
    • 이더리움
    • 5,199,000
    • -1.37%
    • 비트코인 캐시
    • 665,000
    • -6.86%
    • 리플
    • 696
    • -3.87%
    • 솔라나
    • 226,000
    • -3.42%
    • 에이다
    • 614
    • -7.11%
    • 이오스
    • 985
    • -11.1%
    • 트론
    • 162
    • +0.62%
    • 스텔라루멘
    • 137
    • -6.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550
    • -8.77%
    • 체인링크
    • 22,340
    • -7.49%
    • 샌드박스
    • 582
    • -11.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