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공천권 위임받아… “사심없이 하겠다”

입력 2016-02-29 18: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더불어민주당은 29일 국회에서 당무위를 열고 선거 관련 사안에 대한 당무위 권한을 비상대책위에 위임하기로 의결했다. 위임 대상은 선거 관련 당규의 제정과 개폐 및 당헌당규의 유권해석이다.

이날 김성수 대변인은 당무위에서 이러한 내용의 안건을 표결 없이 만장치일치로 통과시켰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20대 총선이 끝날 때까지 20% 컷 오프와 비례대표 선출 조항 등 공천 관련 규정을 통해 공천권을 손에 쥐게 됐다.

김종인 비대위 대표는 “비상한 상황인 만큼 그에 걸맞게 당을 운영해야 한다”며 “총선을 제대로 치를 수 있도록 최대한의 노력을 다하겠다. 당 지도부에 신뢰를 갖고 협조해달라. 사심없이 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당무위원들은 시스템공천 자체가 흔들릴 수 있고, 포괄적 권한 위임으로 비칠 수 있다며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정장선 총선기획단장은 “비례대표 선출 기준의 경우 당헌 자체는 손을 댈 수 없기 때문에 지나치게 우려 안 해도 될 것"”라며 “권한을 위임받는다 하더라도 적용할 수 있는 분야가 매우 한정적”이라고 잘라 말했다.

김 대표는 20% 컷오프 제도와 관련한 비판에 대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해 까면 안 된다고 생각했지만, 개혁을 실천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목소리가 많아 원안대로 추진한 것”이라며 “이제 와서 정무적 판단을 하지 않았다는 이야기를 듣는 건 납득하기 어렵다”고 해명했다.

비례대표 선출문제와 관련해서는 “자기 사람을 심으려고 그러는 것 아니냐는 얘기까지 하는데, 이번 비례대표에는 대선을 앞두고 당의 얼굴이 될 사람들로 앉혀야 당이 집권을 위해 준비한다는 인상을 줄 텐데 지금 제도로는 무척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강기정 의원의 공천배제 문제에 대해서도 “혼자 당을 지켜낸 공로를 알지만 광주 상황을 수습할 길이 없었다”면서 “좋지 않은 감정을 갖고 한 일이 아니라 당 전체를 위해 한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현역 30∼50% 정밀심사와 관련, “50% 물갈이니 30% 물갈이 하는 뜻이 아니지 않느냐. 그렇게 되지 않을 뿐더러 그럴 뜻도 전혀 없다”며 “인재풀이 너무 없어 교체하고 싶어도 대체할 인물이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당무위에서는 하위 20% 컷오프 대상자 구제 문제에 대한 구체적 논의는 이뤄지지 못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리스크 관리=생존’ 직결…책임경영 강화 [내부통제 태풍]
  • 김우빈·신민아, '쇼핑 데이트' 포착…10년째 다정한 모습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틴, 김정은에 아우르스 선물 '둘만의 산책'도…번호판 ‘7 27 1953’의 의미는?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종합]가스공사 등 13개 기관 낙제점…'최하' 고용정보원장 해임건의[공공기관 경영평가]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486,000
    • -0.44%
    • 이더리움
    • 5,022,000
    • +2.41%
    • 비트코인 캐시
    • 547,500
    • -0.36%
    • 리플
    • 696
    • +0.58%
    • 솔라나
    • 190,400
    • -1.86%
    • 에이다
    • 542
    • +0.74%
    • 이오스
    • 803
    • +2.55%
    • 트론
    • 163
    • +0%
    • 스텔라루멘
    • 132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900
    • +1.56%
    • 체인링크
    • 20,160
    • +3.17%
    • 샌드박스
    • 457
    • +3.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