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네바다 기가팩토리 공장 지으나마나? 대체 무슨 일이…

입력 2015-12-16 09: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요 생산업체와 아직 리튬공급계약 맺지 않아 의구심 커져

▲미국 네바다 사막에 위치한 테슬라의 기가팩토리 건설 현장 입구. 블룸버그
▲미국 네바다 사막에 위치한 테슬라의 기가팩토리 건설 현장 입구. 블룸버그

미국 전기자동차업체 테슬라가 네바다 사막에 짓고 있는 세계 최대 전기배터리공장의 앞날에 먹구름이 밀려오고 있다.

이 공장은 오는 2017년 완공 예정인데 테슬라는 아직 메이저 생산업체와 리튬이온배터리의 주재료인 리튬 공급 계약을 맺지 않아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다고 15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이는 정작 공장이 다 지어져도 재료가 없어 생산을 못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의미다.

테슬라는 오는 2020년까지 전기차 50만대 분의 배터리를 기가팩토리에서 공급하는 것이 목표다. 또 가정과 기업용 배터리도 여기서 생산할 계획이다. 테슬라가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생산하면 비용을 3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테슬라가 이런 원대한 목표를 이루려면 리튬의 장기 공급 계약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FT는 지적했다. 현재 리튬 매장량의 70% 이상을 칠레와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등 남미가 차지하고 있다. 전기자동차 등의 부상으로 리튬 수요가 갈수록 늘고 있어 조만간 리튬 시장은 공급난에 처하게 된다. 중국도 배터리 공장을 짓고 있어 전 세계에서 리튬 쟁탈전이 치열하게 벌어질 전망이다.

영국 광산업 전문 컨설팅업체 벤치마크미네랄인텔리전스는 “테슬라의 기가팩토리에 가장 큰 도전은 원재료 확보가 될 것”이라며 “특히 이 부문은 테슬라가 전기자동차 공급망 가운데 유일하게 지배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영역”이라고 꼬집었다.

컨설팅업체 글로벌리튬의 조 로우리 설립자는 “현재 테슬라는 리튬 분야에 직접 투자하는 것보다 자신의 이름값을 이용해 영세 광산업체들로부터 싼 가격에 리튬을 확보하려는 전략을 펼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테슬라는 결국 2020년까지는 시장을 통해 높은 가격에 리튬을 살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금까지 테슬라에 리튬을 공급한다고 밝힌 업체는 두 곳에 불과하다. 그러나 두 곳 모두 2020년까지는 테슬라가 원하는 양만큼의 리튬을 생산하지 못할 것이 확실하다고 FT는 전했다. 벤치마크미네랄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테슬라는 연간 2만4000t의 리튬이 필요하다. 이는 지난해 리튬 생산량 5만t의 절반에 이르는 어마어마한 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북한 ‘오물 풍선’ 전국서 600개 발견…정부 “대북확성기 재개 논의”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달아오른 우주개발 경쟁, 희비 엇갈린 G2…중국, ‘세계 최초’ 달 뒷면 토양 채취 눈앞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81,000
    • +0.38%
    • 이더리움
    • 5,335,000
    • +0.77%
    • 비트코인 캐시
    • 649,500
    • +1.17%
    • 리플
    • 726
    • +0%
    • 솔라나
    • 232,800
    • -0.3%
    • 에이다
    • 635
    • +1.28%
    • 이오스
    • 1,139
    • +0.98%
    • 트론
    • 158
    • +1.94%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00
    • -1.27%
    • 체인링크
    • 25,920
    • -0.23%
    • 샌드박스
    • 628
    • +3.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