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주-신동빈, 경영권 분쟁 결국 형사소송행

입력 2015-12-01 18: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격호 “장차 일본에 국부 유출 우려” vs 롯데 “근거없는 소송 남발, 민형사상 강력히 대응”

▲▲(왼쪽부터) 신격호 회장, 신동주 전 부회장, 신동빈 회장.
▲▲(왼쪽부터) 신격호 회장, 신동주 전 부회장, 신동빈 회장.

그룹 경영권을 둘러싼 롯데가(家) 3부자의 분쟁이 결국 형사소송으로 번졌다.

신격호 총괄회장 측은 1일 법무법인 두우를 통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쓰쿠다 다카유키 일본 롯데홀딩스 대표이사, 고바야시 마사모토 한국 롯데캐피탈 대표이사를 업무방해와 재물은닉 등의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하면서, 신동빈 회장의 개인 지분이 부족해 그룹 경영권이 일본으로 넘어갈 우려가 있어 이번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롯데그룹 측은 신격호 총괄회장과 신동주 전 부회장이 무분별한 소송을 남발해 오히려 업무를 방해하고 있다며, 모든 민·형사 소송에서 강력한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 반박했다.

신격호 총괄회장의 장남으로서, 신동빈 회장과 법적으로 맞서고 있는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도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격호 총괄회장 측은 고소장에서 작년부터 올해까지 신동빈 회장과 일본인 임원들이 자신을 그룹 경영에서 배제한 일련의 과정이 불법적이었다고 주장했다. 신 총괄회장은 "쓰쿠다 대표이사는 작년 8∼12월 '신동주가 허가 없이 자회사 돈을 잘못 투자해 90억원을 날렸다'는 허위보고를 반복했고 결국 '해임하면 좋겠다'고 말해 '그렇다'는 대답을 나로부터 끌어냈다"고 적었다.

이어 "올해 7월28일 일본 롯데홀딩스 본사에서 신동빈 회장과 일본인 임원들은 건물 출입구를 봉쇄한 채 임시이사회를 열고 본인(신격호)을 롯데홀딩스 대표이사 회장직에서 전격 해임했는데 이는 업무를 방해한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임시이사회 직전 신 총괄회장의 대표이사 인감을 꺼내지 못하게 봉인해 버린 점은 재물은닉에 해당한다고도 언급했다.

신 총괄회장 측은 "이번 소송 제기는 가족 간의 다툼이라기보다는 국부 유출 우려를 차단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명분을 내세웠다.

신 총괄회장 측은 "쓰쿠다·고바야시는 롯데의 지주사인 롯데홀딩스 지분 47.7%를 장악했는데, 이는 의결권이 없는 투자회사 LSI의 지분 10.7%를 빼놓고 따지면 53.4%에 해당하고 과반을 넘는다"며 "반면 신동빈 회장의 개인 지분은 1.4%에 불과해 탈취된 그룹 경영권이 장차 일본 측으로 넘어갈 우려가 있다"고 강조했다.

신격호 총괄회장은 올해 7월 임시이사회에서 자신을 해임한 것이 무효라는 소송을 냈고, 신동주 전 부회장도 롯데쇼핑 회계장부 열람 등사 가처분 신청을 내는 등 신동빈 회장을 겨냥한 민사소송을 이미 국내 법원에 냈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이번 형사소송에 대해 "근거 없이 무분별한 소송을 남발하고 있는 신격호 총괄회장 및 신동주 전 부회장 측이 오히려 업무를 방해한 것"이라며 "검찰 조사를 통해 이번 소송이 '무고'였다는 점이 밝혀질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국내에서 직·간접적으로 13만명을 고용하고 연간 90조원대의 매출을 올리는 롯데그룹을 겨냥해 '국부유출'을 언급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며 모든 민·형사 소송에서 강력하게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이 12월 1일 서울 송파구 잠실 롯데월드타워(제2롯데월드) 공사현장을 방문한 후 차로 향하고 있다.(연합뉴스)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이 12월 1일 서울 송파구 잠실 롯데월드타워(제2롯데월드) 공사현장을 방문한 후 차로 향하고 있다.(연합뉴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881,000
    • +2.43%
    • 이더리움
    • 5,267,000
    • +0.96%
    • 비트코인 캐시
    • 653,500
    • +0.38%
    • 리플
    • 728
    • -0.41%
    • 솔라나
    • 236,900
    • +0.21%
    • 에이다
    • 627
    • -0.79%
    • 이오스
    • 1,131
    • +0.35%
    • 트론
    • 156
    • +0.65%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500
    • +0.86%
    • 체인링크
    • 25,360
    • -2.2%
    • 샌드박스
    • 621
    • -0.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