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올 기능마스터 7명 명예의 전당 제막식 가져

입력 2015-11-15 11: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삼성SDI는 기능장 자격증 3개 이상을 따야 될 수 있는 '기능마스터'를 기념하기 위한 명예의 전당을 마련했다.

삼성SDI는 지난 11일 구미사업장에서 전자재료사업부장 송창룡 부사장, 2015년 신규 기능마스터 7명과 그 가족들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기능마스터 명예의 전당 제막식을 가졌다고 15일 밝혔다. 기능마스터 명예의 전당은 구미사업장 최고의 전문가 집단인 기능마스터 탄생을 축하하고 기념하기 위한 장소다.

기능마스터는 제조분야의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고 제조인력들에게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지난 2013년부터 삼성SDI가 구미사업장에 도입한 제도다. 이는 기능장 자격증 3개 또는 기능장 자격증 2개와 기사 자격증 하나를 갖춰야 얻을 수 있는 칭호다. 특히 기능장은 해당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자 반열에 올라야 취득할 수 있는 국가 공인 자격증으로, 시험도 일년에 단 두 번뿐이다. 응시 자격 또한 까다로워 실무 경력만으로는 9년, 산업기사 이상 취득자도 5년 이상의 경력이 필요하다.

삼성SDI는 기능마스터 제도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기능마스터에 도전하는 직원들에게 교재비와 시험 응시료를 지원하고 있다. 애로사항을 상담하고 조언을 얻을 수 있는 전담 창구도 마련했다. 제도가 만들어진 이후 기능마스터 취득에 도전하는 직원들이 점점 늘어나 2년이 지난 지금까지 총 12명의 마스터가 탄생했다.

기능마스터는 삼성SDI 구미사업장 임직원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꿈꾸는 명예다. 삼성SDI 구미사업장은 기능마스터가 탄생할 때마다 동판을 제작하고 설치해 기념하고 있다. 기능마스터 동판은 지금까지 사업장 정문 옆 야외에 자리했지만 금번부터 사내 복지동에 마련된 별도의 명예의 전당이라는 공간에 전시된다.

기능마스터가 되기 위해 직원들 스스로 투자해야 하는 시간이 많은 만큼, 12명의 마스터 각자의 사연도 매우 각별하다. 그 중에서도 7번 째 기능마스터 김경효 대리의 자격증 시험 당일 태어난 둘째 아들 이야기는 동료들 사이에서 유명하다. 가족들의 배려로 김대리는 아들의 출산 소식을 뒤늦게 알게 됐고, 시험에 집중해 합격의 영광을 안았다. 주말 업무를 나누어 덜어 주고 학습 팁을 전수해 준 동료들의 도움 역시 컸다. 기능마스터 제도 때문에 생겨난 구미 사업장 내 학습 열풍이 자연스럽게 가족과 동료들의 도움을 이끌어 낸 것이다.

기능마스터 제도는 삼성SDI 직원과 회사 모두에게 도움이 되고 있다. 기능마스터 제도 때문에 사내에 공부하는 분위기가 형성 되면서 직원들은 자기 개발에 힘쓰게 됐고 그 성과는 자연스레 회사와 공유된다. 기능마스터 제도가 이른바 윈윈(Win win) 문화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삼성SDI는 기능마스터 제도를 청주사업장으로도 확대 운영해 나갈 방침이다.

기능마스터 명예의 전당 제막식에 참석한 전자재료사업부장 송창룡 부사장은 "기능마스터 제도와 같은 기술인력들의 지속적인 우대를 통해 기술중시와 인재제일의 전통을 삼성SDI의 기업문화로 정착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외기업 '하도급 갑질' 꼬리 자른다 [하도급법 사각지대①]
  • '주말 소나기'에도 식지 않는 불볕더위…오후부터 자외선·오존 주의보
  • '엘롯라시코'에 팬들도 탈진…이틀 연속 9:8 '끝내기 혈투'
  • 비트코인, 6만6000달러에서 관망세 계속…"내달 이더리움 ETF 거래 기대감↑"[Bit코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삼성전자, '포브스' 글로벌 순위 21위…전년비 7계단 하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11:2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400,000
    • -0.38%
    • 이더리움
    • 5,055,000
    • -0.08%
    • 비트코인 캐시
    • 595,000
    • -2.7%
    • 리플
    • 685
    • -1.15%
    • 솔라나
    • 208,200
    • +1.66%
    • 에이다
    • 583
    • -0.34%
    • 이오스
    • 901
    • -3.74%
    • 트론
    • 166
    • +1.22%
    • 스텔라루멘
    • 138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8,150
    • -2.92%
    • 체인링크
    • 20,950
    • +0.34%
    • 샌드박스
    • 525
    • -3.6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