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로템, 인도 1조 프로젝트… 전동차 초도편성 현지도착

입력 2015-06-09 10: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델리메트로 3기 전동차 시운전 준비

▲무쿤드푸르 기지에 도착한 현대로템 제작 전동차 (사진제공= 현대로템)

현대로템이 2013년 수주한 1조원 규모의 인도 델리메트로 3기 전동차의 첫 번째 편성이 현지에 도착해 본격적인 시운전에 돌입한다.

현대로템은 지난 4월 창원공장에서 출발한 인도 델리메트로 3기 전동차 사업의 첫 편성(6량)이 인도 현지에 도착, 시운전에 돌입한다고 9일 밝혔다.

델리메트로 3기 전동차 사업은 2017년까지 델리메트로 신규 7, 8호선에 투입될 전동차 636량을 납품하는 프로젝트다. 인도 단일 전동차 발주 건 중 역대 최대 규모다. 현대로템은 2013년 4월 캐나다 봄바르디에, 프랑스 알스톰, 독일 지멘스 등 글로벌 업체들을 제치고 이 사업의 차량 생산업체로 선정됐다.

지난 4일 뉴델리시에 위치한 델리메트로 7호선 무쿤드푸르(Mukundpur) 차량기지에 도착한 전동차 1편성은 인도 최초의 무인운전차량이다. 현대로템은 2005년 캐나다 라브 전동차를 시작으로 터키 마르마라이 전동차, 브라질 상파울로 4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등 국내외 다양한 국가에서 무인운전차량을 수주해 왔다.

이번 델리메트로 신규노선에 투입될 차량은 현지 시행청의 까다로운 소음과 에너지 소모율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 저소음, 고효율 전장품을 탑재했다. 또 승객안전을 위한 차체충돌안전 설계를 적용했다. 현지의 더운 기후를 고려해 에어컨 성능을 향상시켰다. 현대로템은 이번에 납품한 첫 편성에 대해 오는 8월까지 기지시운전과 본선 시운전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후 각종 시험 항목들에 대해 최종 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델리메트로 3기 사업은 인도 현지에서 발주된 최대규모의 사업임과 동시에 현대로템으로서도 사상 최대의 프로젝트”라며 “의미가 남다른 사업인 만큼 현지 납품일정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업 수주 당시 시행청으로부터 기술력과 품질을 인정받았다”며 “인도 최초의 무인운전차량의 안전성과 현대로템의 안정적인 사업수행능력을 입증해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현대로템은 지난 2001년 델리메트로 전동차 280량을 수주하며 인도 시장에 처음 진출한 이후 델리메트로 3기 전동차까지 인도에서만 총 1283량을 수주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600,000
    • -1.78%
    • 이더리움
    • 4,954,000
    • -1.82%
    • 비트코인 캐시
    • 582,500
    • -4.66%
    • 리플
    • 701
    • -0.43%
    • 솔라나
    • 202,500
    • -1.56%
    • 에이다
    • 569
    • -3.23%
    • 이오스
    • 875
    • -6.42%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7
    • -2.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600
    • -4.93%
    • 체인링크
    • 20,140
    • -4.91%
    • 샌드박스
    • 493
    • -9.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