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경의 media- verse]모두가 방송하는 시대

입력 2015-05-27 17: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모바일 시대로 급속 전진…세로 화면의 용인

*미디어버스는 미디어라는 우주(media- verse)를 분석한다는 뜻입니다.

사람들이 손에서 스마트폰을 놓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KT경제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현재 한국인의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219분, 3시간39분이다. 맞다, 평균일 뿐이다. 지하철을 타면 거의 모두가 거북목을 하고 액정 화면을 바라보며 손가락을 놀린다. 같이 식당에 들어가 앉았더래도 서로 자신에게 들어온 문자를 확인하거나 각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하느라 바쁘다.

사람들은 카카오톡으로 대화하고 트위터로 밥을 먹었느네 말았느네 하는 시시콜콜한 일상을 써올려 공유하고 페이스북에 ‘좋아요’를 누르며 소통한다.

이쯤해서 마샬 맥루한(Marshall McLuhan)의 그 유명한 메시지“미디어는 메시지다(medium is message)”가 떠오를 법하다. 맥루한은 저서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Understa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에서 미디어는 인간 감각의 확장이라고 주장했다. 책이 발표된 1960년대 중반에도, 그리고 정보기술(IT)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2015년 현재도 유효한 명제가 아닐 수 없다.

미디어는 메시지 그 자체다. 그러니까 미디어와 우리가 만났을 때 생기는 신체적, 감성적 변화가 미디어가 전달하는 근본적인 의미란 얘기다.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이 아니라 우리는 스마트폰과 SNS라는 미디어로 메시지를 받아들이게 되고, 다소 정보 과잉이라는 우려도 있긴 하지만 아랍의 봄이나 보스톤 마라톤 테러 등을 더 빠르게 전달받을 수 있는 효율적 수단이 되고 있다.

젊은이들은 TV를 보는 대신 스마트폰을 들여다 본다. 미어캣(Meerkat)과 페리스코프(Periscope)를 통해 방송을 본다. 유튜브는 물론 이 계(界)의 장자쯤 된다.

▲미어캣, 페리스코프 등을 통해 사람들마다 자신만의 내용으로 동영상 중계(방송)를 하며 서로 소통하고 있다. (슬레이트닷컴)
미어캣과 페리스코프는 실시간으로 라이브 동영상을 올려 전파한다. 말하자면 개인이 하는 생방송이다. 정규 방송처럼 엄숙할 것도 없다. 자신의 집 냉장고 안을 보여주기도 하고 페리스코프는 최근의 볼티모어 폭동 현장을 다양한 시각에서 보여줘 사회적 관심을 끌기도 했다. 국내에선 아프리카TV가 개인 방송 플랫폼으로 잘 알려져 있다. 게임이나 운동 경기를 자기 맘대로 중계한다든지 먹는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이른바 ‘먹방’이 내용이고 그걸 시청하는 이들과의 실시간 채팅을 한다. 시청자들의 평가(별풍선)를 받아 스타도 되고 돈도 많이 번다.

올드 미디어의 대표주자인 지상파 TV가 이 포맷을 받아들인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예다. 요즘 유행하는 문화방송(MBC)의 ‘마이리틀텔레비전(마리텔)’이 대표적. 1인 방송과 인터넷 방송의 포맷을 그대로 들여와 화제가 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섭외력과 자본력이 막강한 만큼 같은 포맷으로 경쟁할 때 지상파 TV가 이길 수 있다는 점. 뉴미디어는 포맷의 혁신을 몰고 왔지만 지속 가능성에 있어선 오히려 밀릴 수도 있는 모순이 발생하는 것이 바로 지금 변혁의 한 가운데에 있는 미디어 시장의 모습 그 자체 같다.

새로운 것 하나 더. 손 안에서 실시간 방송을 보는 시장으로 변하면서 가로 중심이었던 세상이 세로로 바뀌고 있음을 눈치채고 계시는지. 미디어 전문가 조영신 박사는“이는 촬영 도구와 보는 도구를 이원화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세로로 만든 세상을 (가로)회전없이 그대로 볼 수 있다”면서 “동영상 시장의 큰 축이 모바일로 이동했다는 것을 알려주는 전조인 셈”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인건비부터 골재까지 “안 오른 게 없네”…공사비 상승에 공공·민간 모두 ‘삐그덕’[치솟은 건설원가, 공사비 고공행진 언제까지?①]
  • ‘尹 명예훼손 의혹’ 김만배·신학림 구속…“증거인멸·도망 우려”
  • 전국 30도 안팎 넘는 더위…'호우경보' 제주는 오후부터 차차 그쳐
  • 비트코인 떨어지니 알트코인 불장 오나…"밈코인 도미넌스는 하락 중" [Bit코인]
  • 반복되는 ‘어지럼증’ 이유가? [e건강~쏙]
  • 생존 걸린 리스크 관리...은행들 계획표보다 빠른 준비[내부통제 태풍]
  • “초코파이, 제사상에 올리기도”...베트남 조상님도 찾는 한국의 맛 [해외 입맛 홀린 K푸드]
  • 맥도날드서 당분간 감자튀김 못 먹는다…“공급망 이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1 13:1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188,000
    • -0.64%
    • 이더리움
    • 4,951,000
    • -0.9%
    • 비트코인 캐시
    • 554,500
    • +1.09%
    • 리플
    • 691
    • -0.43%
    • 솔라나
    • 188,000
    • +0.48%
    • 에이다
    • 548
    • +0.37%
    • 이오스
    • 814
    • +0.49%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32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850
    • +1.45%
    • 체인링크
    • 20,090
    • -0.59%
    • 샌드박스
    • 474
    • +3.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