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주도 수중 IoT 표준 2건 국제표준 승인

입력 2019-11-24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립전파연구원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18일부터 22일까지 열린 '국제표준화기구(ISO)‧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간 합동기술위원회(JTC 1)의 사물인터넷 분과위원회(SC 41) 제6차 국제표준화회의'에서 한국이 제안한 수중-IoT(수중통신) 분야의 표준안 2건이 국제표준으로 승인됐다고 24일 밝혔다.

'SC 41'는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정보기술 분야 국제표준화를 위해 운영 중인 합동기술위원회(JTC 1)의 사물인터넷 분과위원회이다.

이번에 승인된 수중-IoT(수중통신) 표준안은 수중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설계·개발 가이드라인과 수중통신망관리시스템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제공하며, 쓰나미·해저지진 등 재난상황에의 대응, 해양 생물자원·수중생태계의 모니터링을 통한 해양환경 보호, 수중·항만 보안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2006년부터 수중-IoT(수중통신) 분야의 표준화 작업을 시작해 2018년에 미국, 유럽 및 일본 등을 제치고 세계 최초로 4건의 국제표준(ISO·IEC 30140-1~4)을 주도해 승인받았다.

이번 회의에서는 국민대,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등에서 개발한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한 국제표준 2건을 추가로 승인받아 총 6건의 수중-IoT(수중통신) 국제표준 전체를 주도하게 됐다.

수중은 안정된 통신수단이 확보되지 않아 아직 미개척 분야로 남아있어 독일, 미국 등 일부 선진국만이 기술개발을 시도 중이며, 우리나라도 선진국과 유사한 수준의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한국은 이번 국제표준화 활동을 통해 2022년 약 43억 달러로 예상되는 수중통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유리한 교두보를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중갈등ㆍ관세전쟁, ‘ESG 경영’ 난관…전문가들 지속가능 전략 모색 [2025 지속성장전략 포럼]
  • 단독 삼성월렛, 新 상품권 출원⋯뉴 디지털 금융 플랫폼 대전환 예고
  • 상대방 송금계좌가 의심된다면…‘사기 의심 계좌 조회 서비스’로 확인해보자 [경제한줌]
  • 한은, 올해 성장률 전망 0.8% 하향 조정…“건설경기 부진 및 소비 회복 더뎌”
  • 팅커벨 출몰…2025버전 동양하루살이 전쟁 발발 [요즘, 이거]
  • "투표지 SNS에 올리면 벌금"…21대 대선 사전투표 유의사항은? [데이터클립]
  • 대기업 몰리자 ‘20억’ 신고가⋯훈풍 부는 마곡 집값
  • "입덕 계기? '고잉 세븐틴' 봤어요"…요즘 아이돌은 '자컨'으로 말한다 [엔터로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817,000
    • -0.75%
    • 이더리움
    • 3,709,000
    • +0.51%
    • 비트코인 캐시
    • 573,500
    • +0.88%
    • 리플
    • 3,180
    • +1.53%
    • 솔라나
    • 235,500
    • -1.05%
    • 에이다
    • 1,027
    • -1.25%
    • 이오스
    • 1,015
    • -3.61%
    • 트론
    • 386
    • +0.52%
    • 스텔라루멘
    • 393
    • -0.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000
    • +0.24%
    • 체인링크
    • 21,390
    • -1.06%
    • 샌드박스
    • 419
    • -0.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