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 별세…모든 재산 기부

입력 2019-01-29 08: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합뉴스)
(연합뉴스)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가 28일 별세했다. 향년 93세.

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이날 "김복동 할머니가 오후 10시 41분 별세했다"면서 "장례식은 '여성인권운동가 김복동시민장'으로 한다"고 밝혔다.

1926년 경상남도 양산에서 출생한 김 할머니는 1940년 만 14세의 나이에 일본군 위안부로 연행됐다. 이후 중국, 홍콩,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에 끌려다니며 '성노예'로 피해를 당했다.

김 할머니는 1992년 위안부 피해를 공개하며, 본격적인 여성 인권 운동의 길을 걸었다. 같은 해 8월 제1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 연대회의에서 위안부 피해를 증언했다.

1993년에는 오스트리아 빈 세계인권대회에 참석해 위안부 피해를 증언했으며, 이후에도 세계 곳곳에서 증언을 이어갔다.

2012년부터 유엔인권이사회,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을 수차례 방문하며 '전쟁 없는 세상', '전시 성폭력 피해자들이 생기지 않는 세상을 위한 활동' 등의 해외 캠페인을 진행했다.

2015년 6월 전쟁·무력분쟁지역 아이들 장학금으로 5000만 원을 지원하는 등 기부활동도 활발히 했다. 이어 2017년 7월 재일 조선 고등학교 학생 2명에게 '김복동장학금'을 전달했고, 2017년 8월에는 사후 남은 모든 재산을 기부하겠다는 약정도 맺었다.

정의연은 "김 할머니는 수많은 위안부 피해자들의 상징이었다"면서 "일본의 진정한 사죄와 제대로 된 배상을 요구해온 인권 평화 활동가였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 할머니의 빈소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진다. 조문은 29일 오전 11시부터 가능하며, 발인은 2월 1일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HBM이 낳은 참극...삼성전자·SK하이닉스 동조화 깨졌다 [디커플링 두 회사 ②]
  • 하는 곳만 하는 시대 지났다…너도나도 슈퍼리치 리테일 사활[증권사 WM 대전]①
  • 텔레그램 기반 낫코인, 비트코인 혼조 속 일주일간 345% 뛰며 시총 50위권 안착 [Bit코인]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제네바 모터쇼…폐지되는 5가지 이유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김호중 천재적 재능이 아깝다"…KBS에 청원 올린 팬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13:1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371,000
    • +0.66%
    • 이더리움
    • 5,300,000
    • -0.43%
    • 비트코인 캐시
    • 644,500
    • -0.39%
    • 리플
    • 722
    • -0.55%
    • 솔라나
    • 228,000
    • -1.85%
    • 에이다
    • 629
    • -0.32%
    • 이오스
    • 1,134
    • -0.53%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850
    • -0.47%
    • 체인링크
    • 25,190
    • -2.25%
    • 샌드박스
    • 633
    • +0.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