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산협 디지털자산인프라협의회, 스테이블코인 콘퍼런스 개최스테이블코인, 글로벌 금융 환경 바꾸는 중…한국 다소 뒤쳐져“룰 세팅만 된다면 따라 잡을 만해…韓 브랜드ㆍ기술력있어”
국내 전문가들이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영향력을 더욱 키우고 있는 스테이블코인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나섰다. 이들은 한국의 스테이블코인 관련 정책과 인프라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
핀산협 4차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정을 위한 국회 포럼’‘디지털자산 사업자 업무 구분 및 규율체계 마련’ 주제강준현 의원 속도감 있는 추진 위해 업계 도움 요청
한국핀테크산업협회는 15일 오후 3시부터 국회의원회관 제2간담회실에서 올해 네 번째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정을 위한 국회 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은 핀산협이 주관하고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무위원회
한국핀테크산업협회장 인터뷰최근 협회 내 디지털자산 관심 커져입법 포럼 연속 개최…업계 의견 반영가상자산 정책 전환점…업계 역할 중요
이제 디지털자산(가상자산)의 순기능에 대한 이견은 없는 것 같다. 정책적으로 어떻게 소비자를 보호하면서 산업을 활성화할지가 과제일 뿐, ‘가야할 길’이라는 데는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
이근주 한국핀테크산업협회(핀산협)
핀산협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3차 포럼2차입법 통한 거래소 이해상충 방지 주제국내외 논의·입법 내용 토대 규제 마련
한국에선 주류 의견이 아니긴 하지만, 규제의 목적은 투자자의 손실 방지라기보다는 공정을 찾아가는 문제라고 생각한다. 증권법이 발달한 미국에서도 (규제) 기반을 공시에 두지 심사에 두지 않는다. 시장 원리를 통해 공정한 거래를 확보하자는 취
핀산협 2차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정을 위한 국회 포럼’“현재 로드맵으론 기업의 시장 참여 담보하기 어려워”“스테이블코인 도입, 혁신·위험 공존”…신중론도 나와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정을 위한 국회 포럼’에서 국내 가상자산 규제 마련이 글로벌 상황에 맞게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스테이블코인이 기존 금융을 혁신할 가능성과 금융 불안
핀산협 산하 스테이블코인 협의회 출범…회원사 47개 참여“가상자산위 규제 마련 논의에 맞춰 출범…현장 목소리 전달”“한국 대응 다소 늦어…새로운 금융질서 내 영토 확보해야”
한국핀테크산업협회 산하 스테이블코인 협의회가 이날 공식 출범했다. 협의회는 향후 당국과 소통을 통해 해외 주요국 수준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도입을 추진하는 등 국내 스테이블코인 사업 활
한국핀테크산업협회가 디지털자산 인프라 협의회를 출범했다고 27읿 밝혔다. 정구태 인피닛블록 대표는 이날 출범식에서 초대 협의회장으로 선출됐다.
협의회는 디지털자산 산업의 건전한 생태계 조성과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출범했다. 여의도 서울핀테크 랩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협회 회원사 12곳을 비롯해 전자지갑, 자산관리, 정보보안, 레그테크 등 디지털자산 산업계
금융위원회가 금융규제혁신회의 첫발을 내디딘 가운데, 가상자산을 둘러싼 기류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그간 가상자산업 진출 기회를 노려온 은행들은 테라ㆍ루나 사태 이후 몸을 낮추고 상황을 지켜보는 중이다. 반면 각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거래량이 줄어든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법인ㆍ기관투자자 유치를 통해 새 활로 찾기에 나서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19일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