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에서 주택을 사들였다가 단기간 내 매도한 ‘단타 매매’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집값이 3월 강남지역을 중심으로 급등한 뒤 회복세가 지속하자 최근 주택을 사들인 매수자들이 추가 집값 상승 기대감으로 차익 실현 대신 보유를 선택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강남지역은 여전히 차익 실현 매도세가 강해 지난달 단타 매매 비중이 오히려 증가하
올해 들어 서울 주택을 보유했다가 단기간 내 매도한 ‘단타 매매’ 비중이 부쩍 늘고 있다. 주택을 사들인 지 3년 미만인 경우는 물론, 보유 기간이 1년 미만인 ‘초단타’ 매도세도 동반 상승했다. 서울과 달리 전국 기준으로는 부동산 단타 매매 비중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16일 법원 등기정보광장 ‘소유권이전등기 신청 매도인 보유 기간별 현
주택시장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 중이다. 지난달 기준으로 다주택자 비중은 상반기 수준으로 회귀했다. 동시에 주택 보유자 가운데 보유 후 ‘1년 이내’에 되파는 비중은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3분기까지 주택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다주택자의 매수세가 이어지고, 투자 성격의 부동산 매수가 계속됐던 것과 정반대 상황이다. 전문가는 최근 부동산 시장
서울과 인천에서 집합건물(아파트·빌라·오피스텔)을 매수한 뒤 ‘1년 이내’에 팔아치우는 비율이 연내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최근 서울과 인천 집값이 오르면서 주택 보유 심리가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부동산 시장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도 단기 매도를 줄인 요인으로 꼽힌다.
18일 법원 등기정보광장 ‘소유권이전등기 신청 매도인 보유 기간
7월 매매건수 329건…34%↓'생애 첫 매수'도 3개월째 감소"금리 인상에 집값마저 떨어져힘들게 구입한 집도 내다팔 판"
서울에서 2030세대 청년층들의 아파트 매수세가 하락하고 있다. 지난해 영끌족이 몰렸던 노원구 역시 매수 감소세가 뚜렷하다.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 등의 여파가 상대적으로 금융 부담이 큰 청년층에게 더 크게 작용한 탓이다.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