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23~27일)간 코스닥지수는 9.97포인트(-1.26%) 내린 781.56으로 마감했다. 이 기간 코스닥 시장에서는 개인이 5462억 원 순매수 했지만 기관이 555억 원, 외국인이 3643억 원 순매도 하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28일 한국거래소와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주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오로라로, 92.84% 오른
24일 코스피 시장에서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녹십자홀딩스2우 1종목이다. 특별한 호재성 공시나 이슈는 없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코스피 시장에서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동성제약이다. 동성제약이 전일 공시를 통해 서울회생법원으로부터 회생 절차 개시 결정문을 받았다고 밝힌 영향으로 보인다.
법원은 나원균 동성제약 대표와 제3자인 김인수 씨를 공동관리
HLB테라퓨틱스(HLB Therapeutics)는 미국 자회사인 리젠트리(ReGenTree)가 진행한 신경영양성각막염(NK) 치료제 후보물질 'RGN-259'의 유럽 임상3상에서 통계적 유효성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24일 밝혔다.
리젠트리는 전날 SEER-3 유럽 임상3상을 수행한 임상시험수탁기관(CRO)으로부터 탑라인(topline) 1차 평가지표 결과
“RGN-259에 대한 글로벌 빅파마들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기술이전 계약이 성사되기까지 한 걸음을 남겨두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힌다 클레인만(Hynda Kleinman) 리젠트리 최고과학책임자(CSO)는 22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본지와 만나 신경영양성각막염 치료제 ‘RGN-259’의 효능과 경쟁력을 설명했다. 미국 국립보건원(NI
K바이오가 글로벌 안구건조증 치료제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고령화와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 등 다양한 요인으로 시장이 팽창하는 가운데 주도권을 잡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다.
24일 시장조사기관 IMARC에 따르면 글로벌 안구건조증 시장 규모는 2022년 45억 달러(약 6조 원)를 기록했으며, 2028년에는 63억 달러(약 8조3000억 원)에 달할 것으
HLB테라퓨틱스는 미국 자회사 리젠트리(ReGenTree)를 통해 개발 중인 신경영양성 각막염(NK) 치료제 ‘RGN-259’의 첫 번째 임상 3상(SEER-1) 결과가 SCI급 저명 학술지(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에 실렸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논문은 학술지의 특별 초대를 받아 안구건조증과 안구
HLB테라퓨틱스는 미국 자회사 리젠트리(ReGenTree)를 통해 개발 중인 신경영양성각막염(NK) 치료제에 대한 미국, 유럽 임상 3상 준비에 돌입하고, 글로벌 안과 전문 임상시험수탁기관(CRO)과 관련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안과 질환은 통상 2번의 반복적 임상결과가 요구된다. 회사는 2개의 임상(SEER-2, SEER-3)을 동시에 진행해
글로벌 안구건조증 치료제 개발을 향한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도전이 이어지고 있다. 성공하면 대규모 시장에서 노다지를 캘 수 있지만, 까다로운 임상 과정과 허가 기준을 넘어야 한다는 점에서 녹록지 않은 여정이다.
13일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안구건조증 치료제 시장은 10년만에 2배 늘어나 2027년 8조6000억 원(69억8200만
HLB테라퓨틱스는 미국 자회사 리젠트리(ReGenTree)가 개발 중인 안구건조증 치료제 ‘RGN-259’에 대한 바이오의약품 허가신청 전 회의(Pre-BLA) 자료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에 제출한 자료는 28일 진행 예정인 FDA와의 Pre-BLA 미팅에서 논의될 제조 및 품질 관리(CMC), 비임상, 임상에 대한 구
에이치엘비테라퓨틱스(구 지트리비앤티)가 미국 자회사 리젠트리(ReGenTree)를 통해 개발 중인 안구건조증 치료제 ‘RGN-259’에 대해 미국 FDA로부터 Pre-BLA 미팅 일정을 내년 2월 28일(현지시간)로 통보 받았다고 17일 밝혔다.
Pre-BLA 미팅이란 생물학적 의약품의 최종 허가를 위한 BLA (Biological License App
에이치엘비테라퓨틱스(구 지트리비앤티)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미국 자회사 리젠트리(ReGenTree, LLC)에서 개발 중인 안구건조증 치료제 ‘RGN-259’에 대한 바이오의약품 허가신청 전 회의(Pre-BLA 미팅)을 신청했다고 25일 밝혔다.
Pre-BLA 미팅은 신약 최종 판매 승인 단계인 BLA 제출에 앞서 FDA의 허가 서류 검토 부서와
에이치엘비 컨소시엄이 지트리비앤티를 인수하고, 에이치엘비테라퓨틱스로 사명을 변경했다.
에이치엘비는 16일 열린 지트리비앤티 임시 주주총회에서 넥스트사이언스를 중심으로 에이치엘비, 에이치엘비제약, 에이치엘비셀, 에이치엘비인베스트먼트 등 그룹사 6개 법인으로 구성된 에이치엘비 컨소시엄의 지트리비앤티 인수가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날 안기홍 에이치엘비 부사장이
에이치엘비는 진양곤 회장이 미국 자회사 엘레바(Elevar Therapeutics)의 의장으로 선임됐다고 27일 밝혔다.
엘레바는 에이치엘비가 100% 지분을 보유한 신약개발 전문기업이다. 표적항암 신약물질 ‘리보세라닙(rivocerinib)’과 3세대 파클리탁셀 제제인 ‘아필리아(apealea)’를 개발 중이다.
진 회장이 엘레바 이사회 의장에 취임한
13일 코스닥 시장에서 4개 종목이 상한가, 1개 종목이 하한가를 기록했다.
에이치엘비 그룹이 안구건조증 치료제 등을 개발 중인 지트리비앤티를 인수한는 소식에 상한가를 보였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트리비앤티는 전일 대비 3150원(29.58%) 상승한 1만38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지트리비앤티는 넥스트사이언스, 에이치엘비 등을 대상
에이치엘비 그룹이 지트리비앤티를 인수하고 코로나19 백신 유통과 신약 개발 사업을 강화한다.
지트리비앤티는 넥스트사이언스, 에이치엘비 등을 대상으로 400억 원 규모의 3자배정 유상증자와 50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 발행으로 자금 유동성 확보에 나선다고 13일 공시했다.
이번 증자에는 에이치엘비, 넥스트사이언스, 에이치엘비제약, 에이치엘비셀, 에이치엘비인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글로벌제약사가 독점한 안구건조증 치료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K-바이오가 거둬들일 성과가 더욱 주목된다.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부족하거나 지나치게 증발해 안구 표면이 손상되면서 이물감이나 건조감을 느끼는 질환이다. 고령화와 스마트폰 사용 증가, 미세먼지 등 환경적 요인으로 환자 수가 꾸준히 늘어나
지트리비앤티의 안구건조증 신약개발 사업이 미국 FDA 임상3상(ARIES-3) 돌입을 계기로 빠른게 진전될 전망이다.
지트리비앤티 관계자는 26일 “이르면 다음달 중 안구건조증 치료제 임상3상에 들어갈 예정”이라며 “임상3상에서는 700여 명을 대상으로 임상에 들어가게 되며, 이번을 끝으로 허가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근 환경
지트리비앤티가 진행 중인 안구건조증 신약개발과 관련해 5월초 미국 백내장 굴절교정 수술학회(ASCRS)에 참가한다고 25일 밝혔다.
ASCRS는 세계적인 안과질환 학회 중 하나다. 환자와 정부, 의료계가 협력해 임상ㆍ실무 관리 교육과 최신 진료 방안을 제공하고, 안과 치료를 위한 의료진의 지식, 기술의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트리비앤티는 이
국내 안구건조증 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안구건조증 시장이 5조 원 규모로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제약 바이오·헬스케어 기업들이 해당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이 한창이다. 이는 미세먼지, 계절적 요인 등으로 안구건조증 질환자가 늘면서 앞으로 이와 관련한 의료기기, 의약품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1일
휴온스가 개발하는 안구건조증 신약후보물질 'HU024'의 미국 임상진입이 늦어지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휴온스가 HU024의 임상진입을 보류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휴온스의 안구건조증 치료제 HU024의 미국 2상 진입이 지체되고 있다.
HU024는 각막 손상, 혈관재생, 피부상처 치유 등에 효과가 있는 Thymosin-beta4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