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주 우리은행 매각방안 발표...당국, 어떤 묘책 내놓을까?

입력 2014-06-19 11: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우리은행 매각 방안 최종 확정이 닷새 앞으로 다가왔다. MB정부때부터 번번히 무산된 민영화 작업에 종지부를 찍을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직(職)을 걸겠다’고 선언한 신제윤 위원장은 앞서 '30% 통매각·10% 분산매각'의 투트랙 방식을 공식화했다.

이전보다 진일보된 매각 계획이지만 수조원에 달하는 빅딜이다 보니 ‘이번에도 확실한 주인을 찾지 못할 것’이란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공적자금 극대화 속에서 경우의 수를 따지는 금융당국의 머리 속이 복잡해지고 있다.

◇ 확실한 주인찾기 성공할까 =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하고 있는 우리은행 총 지분은 56.97%다. 금융위는 이 가운데 30%는 두 곳 이상이 경쟁에 참여해 더 좋은 조건을 제시한 쪽에 일반경쟁입찰 방식으로 팔고, 나머지 26.97%는 투자자별로 10% 미만 한도 내에서 원하는 수량 만큼 살 수 있는 희망수량입찰 방식으로 넘길 계획이다.

정부가 30% 통매각 그룹을 별도로 진행하는 것은 안정적 경영권을 획득하게 해 확실한 주인을 찾아주겠다는 의도가 깔려있다. 10% 수준의 불안정한 경영권에 높은 프리미엄을 받아내기는 힘들다는 속내도 담겨있다.

문제는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지분 30%만 인수한다고 해도 매각가는 3조원에 달한다. 30%이상 매각 그룹에 참여할 수 있는 후보군은 교보생명과 KB금융이 꼽힌다.

금산분리때문에 삼성이나 한화와 같은 대기업은 눈길조차 줄수 없고 타 금융그룹은 자금동원력에서 밀린다. 국내 최대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도 인수전 불참의사를 공식화했다.

우선 교보생명은 인수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돈’이 부족하다. 자체 자금능력이 1조3000억원밖에 안된다. 재무적 투자자의 힘을 빌리지 않는 이상 독자 인수는 어렵다. 하지만 이 경우 추후 상장 등으로 지분 가치가 오르면 재무적 투자자가 차익을 남기고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어 경영권에 위협을 받을 수 있다.

KB금융의 경우 인수 능력은 있지만 최근 LIG손해보험 인수합병(M&A)으로 사업구조가 안정화됐다는 점에서 유인책이 낮다. 동종업계 합병으로 대규모 구조조정이 불가피해 내부반발도 걸림돌이다.

만약 교보생명과 KB금융 둘다 입찰에 응한다면 거래가 성립되지만 KB금융이 포기한다면 입찰은 무산된다. 현행법상 일반경쟁입찰은 복수 후보가 들어와야만 거래가 성립되기 때문이다.

이같은 우려에 대해 신 위원장은 “복수 입찰이 안돼 유찰될 경우 나올때까지 입찰을 진행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외국계 사모펀드 허용 여부 관건 = 경영권을 가져가는 인수자는 수천억원에 달하는 프리미엄을 줘야 한다. 10% 미만의 지분을 사가는 입찰자에게 1주당 0.5주의 콜옵션을 받을 수 있으나 주식시장에서 지분을 되팔아야하는 기관 투자가들에게 이를 되돌려 받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과거 세차례의 우리금융 민영화 실패 요인은 모두 유효경쟁 성립에 실패하고 예비입찰 신청자가 없기 때문이었다. 이번에도 주인찾기에 실패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이유다.

이에 거론되고 있는 방안이 외국계 사모펀드다. 앞서 신 위원장은 지난 2011년 우리금융 매각 방안을 발표할 당시 “외국계 자본에

제한을 두지 않겠다”고 밝힌바 있다. 그러나 론스타가 외환은행을 사고파는 과정에서 ‘먹튀’ 논란을 일으킨 만큼 국민정서에 반하는 결정을 내리기엔 정부로서도 부담이다.

공자위 관계자는 “법적으로 문제되지 않는다면 외국계 사모펀드의 입찰을 제한할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위는 오는 23일 우리은행 매각 방식을 발표하고 9월 중 공고를 낼 예정이다. 30% 일반경쟁 예비입찰과 희망수량 신청은 11월 중 진행하고 30% 일반경쟁에 대한 본입찰은 연말이나 내년 1월까지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황재균·장성우 아닌 박상원이 사과…KT 감독 "고참으로서 역할 잘한 것"
  • 교감 뺨 때리고 침 뱉은 초등 3학년생 '금쪽이'…엄마 반응은?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르포] "등잔 밑이 어둡다"…서울 한복판서 코인 OTC 성행
  • 단독 영업비밀인데…‘원자로 설계도면’ 무단 유출 한전기술 직원 적발
  • 예상보다 더한 법인세 급감…올해도 '세수펑크' 불가피
  • [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첫 돌파…애플 추월
  • 유튜브서 봤던 그 게임 '라스트워: 서바이벌', 좀비보다 사람이 더 무섭네? [mG픽]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9,250,000
    • +0.46%
    • 이더리움
    • 5,323,000
    • +0.95%
    • 비트코인 캐시
    • 692,000
    • +3.75%
    • 리플
    • 731
    • -0.14%
    • 솔라나
    • 240,100
    • -0.29%
    • 에이다
    • 639
    • +0%
    • 이오스
    • 1,106
    • -1.16%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600
    • +0.74%
    • 체인링크
    • 24,240
    • -1.06%
    • 샌드박스
    • 670
    • +2.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