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팅 ‘의료혁명’] 정부 “시너지 기대되는 분야…프린터·SW 200억 투자”

입력 2014-05-29 11: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부, 사업화·경영컨설팅 등 지원 계획

정부도 최근 3D프린팅 육성 방안을 발표하며 의료산업 분야에 새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부처 합동으로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2020년 3D프린팅 글로벌 선도국가 도약’을 비전으로 성장기반 조성, 비즈니스 활성화, 기술경쟁력 확보, 중점 과제를 선정해 추진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이미 해외에서는 3D프린팅 기술을 새 성장동력으로 주목하며 적극적으로 육성 중이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응용분야별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과 사업화 지원에 나섰다. 의료 분야에서는 민간·공공부문으로 나눠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와 사업계획을 공모해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발굴해 선정한다. 선정된 계획에 대해 추가 개발·사업화 지원과 마케팅, 경영컨설팅 등 종합적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기술경쟁력이 확보되면 의료 분야에서도 혁신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3D프린팅 기술은 수술과 의료 교육, 인공 뼈·관절·치아 등의 제작을 통한 재활치료, 인공적 신체조직이나 장기의 배양, 환자 중심의 맞춤형 제약 분야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3D프린팅의 의료분야 활용 소재는 합성수지·금속·종이·목재·식재료 등 다양하다. 임플란트나 인공 골격·장기 등과 같은 의료용 특수소재에 적용해 활용할 수 있다.

앞으로 정부는 3D프린팅 산업 발전을 위한 법과 제도를 개선해 시스템과 서비스를 보완할 전망이다. 정부는 연구반을 구성해 분야별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불법 콘텐츠 유통 방지, 지식재산권 보호 등을 위한 모니터링 제도를 검토하고 있다. 또 3D프린팅 산업 발전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불합리한 규제를 수정하고 환경안전 관리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3D프린팅 환경 품질평가 체제를 내년까지 마련하고, 국제표준 동향을 고려한 KS 제정과 민간 표준화 활동도 지원한다. 위해성 평가 연구를 강화하고 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KC인증제도 역시 보완할 예정이다.

이를 추진하기 위해 ‘3D프린팅 산업 발전협의회’를 구성해 3D프린팅 정책·과제 발굴, 인프라 조성, 기업 지원 등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총괄 부처인 미래부와 산업부 공동으로 구성되며 관련 협회·유관기관·민간전문가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산·학·연 참여 유도를 통해 3D프린팅 시너지 효과 창출과 소통 통로 활용을 위한 포럼의 정례화도 추진 중이다. 이번 추진전략을 통해 2020년까지 지금까지 없었던 글로벌 선도 기업 5곳을 육성하고 시장점유율을 15%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윤규 미래부 정보통신산업과장은 “3D프린팅 기술의 가장 큰 장점은 개개인에 특화된 맞춤형 생산인데 이에 가장 잘 맞는 분야가 의료”라며 “미래부에서는 앞으로 5년간 200억원을 투자하며 의료용 3D프린팅 기기와 응용소프트웨어를 개발해 환자들에게 가장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사업계획을 공모해 지원 대상을 선정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 비밀번호가 털린 사실을 뒤늦게 알았습니다…어떻게 해야 할까요?
  • 이스라엘군 “가자지구서 인질 4명 구출”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대한의사협회, 9일 ‘범 의료계 투쟁’ 선포 예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938,000
    • +0.26%
    • 이더리움
    • 5,192,000
    • -0.1%
    • 비트코인 캐시
    • 663,500
    • -2.71%
    • 리플
    • 696
    • -0.57%
    • 솔라나
    • 225,200
    • -1.62%
    • 에이다
    • 614
    • -3.31%
    • 이오스
    • 987
    • -2.85%
    • 트론
    • 162
    • +1.89%
    • 스텔라루멘
    • 137
    • -2.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750
    • -3.45%
    • 체인링크
    • 22,280
    • -3.26%
    • 샌드박스
    • 578
    • -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