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투협, '금융투자산업 발전을 위한 대토론회' 개최

입력 2014-04-08 09: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투자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해 업계 관계자는 물론 학계, 정부 관계자들이 모여 해결 방안을 논의했다.

한국금융투자협회는 8일 콘래드 서울 그랜드볼룸에서 ‘금융투자산업, 위기에서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금융투자산업 발전을 위한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대토론회는 침체에 빠진 국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산업이 새롭게 도약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국가적 현안과제인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한 자본시장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박종수 금투협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고령화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Risk-taking과 적극적인 모험자본 공급이 가능한 자본시장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업계는 새로운 상품과 혁신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 모멘텀을 찾고, 정부는 민간의 목소리를 반영한 규제혁신을 통해 이를 뒷받침하되, 정책의 타이밍을 실기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이성용 베인앤드컴퍼니코리아 대표는 ‘글로벌 IB의 현황과 국내 발전방향’이라는 주제의 기조연설을 통해 “현재 한국 증권산업은 중대한 변곡점에 처해있으며, 선진국의 발전과정에서 보았듯이 이 시점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기존 사업모델의 한계를 뛰어넘는 과감한 혁신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첫번째 세션은 ‘고령화시대 자본시장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강동수 한국개발연구원 금융경제부장의 발표 이후 토론이 이어진다. 길재욱 한국증권학회 회장이 첫번째 토론의 진행을 맡게 되며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대표이사와 이태성 기획재정부 재정관리국장 전용일 성균관대학교 교수, 조재민 KTB자산운용 대표이사가 토론자로 참여한다.

두번째 세션은 ‘금융투자산업 규제 혁신방안’이라는 주제로 진행된다. 김화진 서울대학교 교수의 발표 이후 송웅순 법무법인 세종 대표변호사가 두번째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토론자로는 김기범 KDB대우증권 대표이사, 김용재 고려대학교 교수, 신보성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현철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국장이 참여한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소관상임위인 국회 정무위원회의 김정훈 위원장과 정무위원회 소속인 민병두 의원, 김용태 의원, 박대동 의원, 강석훈 의원이 참석하였으며, 정부에서는 기획재정부 이태성 재정관리국장과 금융위원회 이현철 자본시장국장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고우석, 방출대기 명단 올랐다…메이저리그 입성 물 건너가나
  • 정용진 부부 데이트 현장 포착한 '밥이나 한잔해'…식당은 어디?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단독 줄줄이 터지는 금융사고에... 6월 금융판 암행어사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067,000
    • +0.79%
    • 이더리움
    • 5,215,000
    • -0.06%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47%
    • 리플
    • 722
    • +0%
    • 솔라나
    • 231,400
    • -0.22%
    • 에이다
    • 625
    • +0.64%
    • 이오스
    • 1,124
    • +1.35%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600
    • +0.87%
    • 체인링크
    • 24,830
    • -2.97%
    • 샌드박스
    • 607
    • -0.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