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올해도 님(NIM·순이자마진)은 먼 곳에…

입력 2014-04-02 10: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 경쟁 갈수록 심화… 예대금리차 좁히기 힘들어

은행권이 올 경영 화두로 수익성 회복을 외치고 있지만 순이자마진(NIM)의 개선은 올해도 어려울 전망이다. 금융당국의 고정금리대출 확대 요구에 따라 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 금리 추가 인하를 검토하고 있어 예대금리차(대출금리와 예금금리 차이)를 좁히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 은행권의 신규거래 기준 예대금리차는 1.82%로 전월(1.88%) 대비 6bp(1bp=0.01%포인트)나 하락했다. 신규거래 저축성수신 금리는 2.63%로 전월과 비교해 2bp 내리는데 그친 반면 같은 기간 신규거래 대출금리는 가산금리 하락으로 8bp나 떨어지면 대출금리가 4.45%까지 낮아졌기 때문이다.

잔액 기준 예대금리차도 같은 기간 1bp 소폭 오른 2.54%지만 전년 동월(2.63%)과 견주면 9bp가 내려간 상태다.

신규기준 대출금리 하락은 가계대출 금리 하락(전월 대비 10bp 하락)이 주된 영향을 미쳤다.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산출 기준이 되는 자금조달지수(COFIX·코픽스)가 하락했고, 무엇보다 금융당국의 고정금리대출 비중 상향 요구로 은행간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경쟁이 심화된 탓이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구조 개선을 위해 은행권 고정금리·비거치식 분할상환대출 비중을 오는 2017년까지 40%로 높이도록 했다. 올해 목표는 20%이며, 2015년 25%, 2016년 30% 등 지속적으로 고정금리대출 비중을 늘려야 한다. 지난해 말 기준 은행권 고정금리대출 비중은 15.9%, 비거치식 분할상환대출 비중은 18.7%다.

KB국민·우리·신한·하나·IBK기업·외환 등 주요 6개 시중은행은 최근 혼합형대출 금리를 0.15~0.55%포인트 인하했다. 혼합형대출은 첫 3~7년간 고정금리가 적용되고 이후 코픽스 등에 연동하는 변동금리로 전환되는 대출이다.

문제는 주택담보대출 관련 불안 요인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란 점이다. 실제로 은행권은 혼합형대출 금리 추가 인하를 검토하고 있다.

오진원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올 2분기 이후 본격적인 후순위채 만기 도래 등 수신금리 하락을 견인할 긍정적 요인이 존재하지만 가계부채 구조개선 관련 가계대출 가산금리 추가 하락 여지 또한 무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그 커피 어디 거예요?"…Z세대도 홀린 고현정·최화정의 라이프스타일 [솔드아웃]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대한의사협회, 9일 ‘범 의료계 투쟁’ 선포 예정
  • 삼성전자 노조, 오늘 연차 파업…"생산 차질 없을 듯"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500,000
    • +0.14%
    • 이더리움
    • 5,282,000
    • -0.97%
    • 비트코인 캐시
    • 711,000
    • +4.18%
    • 리플
    • 726
    • +0%
    • 솔라나
    • 238,400
    • -0.54%
    • 에이다
    • 646
    • +1.57%
    • 이오스
    • 1,092
    • -0.82%
    • 트론
    • 158
    • -0.63%
    • 스텔라루멘
    • 146
    • -1.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9,000
    • +1.37%
    • 체인링크
    • 24,250
    • +0.75%
    • 샌드박스
    • 649
    • +0.7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