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부, 국내기업 R&D 수준 '낙제점'

입력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우리나라 기업들의 연구개발(R&D)가 고기술 산업과 일부 대기업에만 편중돼 있어 파급 효과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R&D 규모확대에도 불구하고 효율성이 낮고 업종간 진입장벽과 규제 등으로 인해 정보통신산업에서의 생산성 증가가 다른 업종으로 파급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재정경제부는 13일 `R&D의 생산성 파급효과 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되, 규제완화와 진입장벽 제거를 통해 기술파급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중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재경부에 따르면 'R&D의 생산성 파급 효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R&D 비중은 지난 2004년 기준으로 GDP대배 2.9%에 달해 OECD 국가 평균 2.2%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특정부문과 기업으로의 편중현상이 심했다. 기업별로는 상위 5개사 집중도가 한국의 경우 40.4%인데 반해 미국은 15.4%, 일본은 21.3%였다.

정보통신산업 등 고기술산업에 연구개발이 집중(50.2%)돼 있고 서비스산업은 부진(9.0%)했다. 특히 서비스업의 경우 소프트웨어자문, 컴퓨터관련 서비스 등 정보통신관련 서비스업을 제외할 경우 전체의 3%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분석이다.

부문별로는 R&D가 정보통신업 등 고기술 산업의 비중이 전체의 절반인 50.2%를 차지한 반면에,서비스 산업은 9%에 그쳤다.

재경부는 이와같은 우리나라 R&D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규제 완화와 비제조업의 진입장벽 제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언제 붕괴될지 몰라"…금가고 무너지는 종로 충신1구역 가보니 [르포]
  • 임영웅, '모래 알갱이' 주요 음원사이트 1위…'따뜻한 감성' 통했다
  • AI와 사랑하는 시대?…월 40만 원에 구독하는 ‘완벽한 남편’
  • 가장 선호하는 반려견은 ‘몰티즈’, 고양이는?
  • “정유정 만날까 무섭다” 여대생들 과외 앱 삭제 러시
  • 고공행진 엔터주, 악재에 종목장세↑…‘옥석 가리기’ 시작하나
  • 엄현경♥차서원, ‘혼전임신’ 부모된다…“제대 후 결혼식”
  • 제니 배우 데뷔작 ‘디 아이돌’, 북미서 첫 방송…“수위 논란 떠나 공허해”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35,693,000
    • +4.55%
    • 이더리움
    • 2,477,000
    • +3.08%
    • 비트코인 캐시
    • 148,700
    • +3.19%
    • 리플
    • 696.7
    • +3.72%
    • 솔라나
    • 26,830
    • +1.55%
    • 에이다
    • 464.9
    • -0.51%
    • 이오스
    • 1,176
    • +5.47%
    • 트론
    • 103
    • -0.68%
    • 스텔라루멘
    • 117.5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330
    • +2.05%
    • 체인링크
    • 8,220
    • +2.24%
    • 샌드박스
    • 701.8
    • +1.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