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오년 재계 경영화두] 비수 같은 한마디 “위기다… 다 바꿔라”

입력 2014-01-06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美 출구전략 시동·원화강세 등 압박… 총수들 “혁신통한 재도약” 주문

올해 완만한 경기 회복이 예상되는 가운데 재계가 심기일전에 나섰다. 섣불리 낙관하기보다 뼈를 깎는 변화를 통해 올해를 새롭게 준비하고 있는 것.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한해를 보낸 탓에 올해는 변화를 통해 도약을 노리겠다는 각오다.

하지만 재계를 둘러싼 대내외 상황은 안 좋다. 미국의 출구전략, 선진국 저성장 우려, 원화 강세, 통상임금 범위 확대, 금산분리 강화 움직임은 기업의 존립마저 위태롭게 하고 있다.

특히 원화 강세는 수출을 동력으로 성장해 온 우리 경제에 상당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새해 첫 날부터 원•달러 환율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장중 최저치로 하락했으며, 원고•엔저 현상도 뚜렷해졌다.

2일 외환시장에서 원화는 장중 달러당 1048.3원까지 하락하며 심리적 저지선인 1050원이 붕괴됐다. 같은 날 원•엔 환율도 5년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장중 100엔당 996.2원까지 주저앉았다. 부담을 느낀 금융 당국이 일부 개입해 환율이 심리적 마지노선(1달러당 1050원, 100엔당 1000원) 이상으로 회복됐지만 재계에 상당한 충격을 안겼다.

특히 환율 변동에 가장 민감한 자동차•철강•조선 업종의 대기업들은 극도로 긴장하고 있다. 자동차업계 한 관계자는 “당분간 환율 하락 압력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모든 변수를 고려한 대책을 강구 중”이라고 설명했다.

안방에서는 통상임금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잔업, 휴일 근로가 많은 제조업종을 중심으로 지난해 말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통상임금 산정 범위 확대 판결에 따른 후폭풍이 본격화될 조짐이다. 이는 대법원의 일부 애매모호한 판결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대법원은 과거 정기상여금의 3년치 소급 가능 여부를 ‘회사별 판단’에 맡겼다. 소급적용이 불가능할 경우를 “경영상 중대한 어려움이 있을 때”라고 자의적인 해석이 가능한 단서를 달은 것. 결국 경영 및 생산활동에 전념해야 할 노사가 기업의 재무상태를 두고 법정 다툼을 벌이는 데 힘을 낭비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른 부담은 기업에 고스란히 전가될 수밖에 없다.

여야와 정부의 대기업 지배구조 개선 움직임도 최대의 위협 요소다. 최근 신규순환출자를 금지하되 기존의 순환출자 고리를 인정하는 공정거래법 개정안 통과로 수십조원에 달하는 비용을 절감하게 됐지만, 경영권 방어에 대한 부담이 커졌다.

재계 고위 관계자는 “신규순환출자 금지법은 지금까지 진행된 각종 경제민주화 입법 및 규제와는 차원이 다르다”며 “투자 위축은 물론 투기자본의 적대적 인수•합병(M&A) 시도로 기업의 존립을 위협하는 일이 빈번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적극적인 투자 확대로 성장동력 확보에 나서야 할 때, 통상임금 관련 소송이나 경영권 방어에 막대한 비용을 들여야 한다는 것이 안타깝다”며 “기업들의 투자가 줄어들면 고용은 위축되고, 내수 침체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계속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주요 그룹 총수들의 올 신년사에도 재계가 직면해 있는 이러한 각종 난관에 대한 고민이 그대로 묻어난다. 총수들이 새해에 들고 나온 경영 키워드는 ‘고강도 혁신’이다. 대내외 악재가 한꺼번에 터지고 있는 유례없는 현재의 위기를 본능적으로 직감한 것이다.

불안 요인을 떨치고 갑오년(甲午年)을 상징하는 말(馬)처럼 거침없이 전진하기 위한 재계의 새해 전략을 분석해 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323,000
    • +0.6%
    • 이더리움
    • 5,317,000
    • -0.19%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39%
    • 리플
    • 725
    • -0.41%
    • 솔라나
    • 231,200
    • -1.28%
    • 에이다
    • 632
    • +0.64%
    • 이오스
    • 1,140
    • +0.09%
    • 트론
    • 161
    • +3.21%
    • 스텔라루멘
    • 0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550
    • -0.12%
    • 체인링크
    • 25,850
    • -0.65%
    • 샌드박스
    • 628
    • +3.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