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국감]연구실 안전사고 원인 95%가 ‘부주의’

입력 2013-10-14 13: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구실 안전사고 원인의 95%가 연구자의 부주의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민병주 의원은 14일 미래창조과학부 국정감사에서 “미래부에게 제출받은 ‘연구실사고 보고와 사고 유형별 현황 및 안전관련 정기 교육·훈련 현황’에 따르면 연구실 사고 원인의 95%가 연구자의 부주의 때문에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최근 6년간 총 사고 건수는 678건, 2007년에 비해 최대 3.4배 사고가 증가했다.

연도별는 2007년 46건, 2008년 98건, 2009년 140건, 2010년 129건, 2011년 157건, 2012년 108건의 사고가 일어났다.

이 중 안전관련 교육 미준수로 인해 발생한 사고가 40%이상, 연구자 부주의로 인한 사고는 9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교육 미준수 비율은 연구기관이 47.3%, 대학은 41.7%, 기업연구소는 41.3%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민 의원은 “연구실에 연구자의 부주의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전관련 교육은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면서 “과학기술분야 R&D 투자가 늘어나고 신물질 창출, 융합연구 등 창의적·모험적 연구가 많아질수록 연구실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이 많아져 연구실 안전 문제는 안정적 연구를 위해 상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민 의원은 “미래부 안전담당 부서의 인원과 예산이 부족한 것도 문제”라면서 “안전교육을 강화하고 예산을 확충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덴마크 불닭볶음면 리콜 이유 따로 있다?…스웨던 출신 유튜버의 추측
  • 야수 전원 출전한 '최강야구'…대구고 2차전 콜드승 쾌거
  • 오늘(18일) 의협 주도 병원 집단 휴진…휴진 병원 대상 불매운동 움직임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연돈볼카츠 점주들 "월 3000만 원 예상 매출 허위" vs 더본코리아 "사실과 달라"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09:2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224,000
    • -0.97%
    • 이더리움
    • 4,915,000
    • -3.85%
    • 비트코인 캐시
    • 586,000
    • -2.9%
    • 리플
    • 707
    • +2.61%
    • 솔라나
    • 199,200
    • -6.48%
    • 에이다
    • 562
    • -4.42%
    • 이오스
    • 859
    • -6.83%
    • 트론
    • 164
    • -1.2%
    • 스텔라루멘
    • 136
    • -2.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750
    • -5.53%
    • 체인링크
    • 20,370
    • -4.5%
    • 샌드박스
    • 468
    • -13.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