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전시'위협에 9천억 개성공단 흔들, 현황은?

입력 2013-03-31 16: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북한이 전시상황을 언급하며 연일 위협 발언을 쏟아내고 있는 가운데 남북간 경협의 최일선인 개성공단의 유지마저 흔들리면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개성공단은 북한이 군대를 뒤로 물린 자리에 남측의 자본과 북측의 노동력을 결합해 조성됐으며 금강산관광, 남북 철도·도로 연결사업과 함께 남북 3대 경제협력사업으로 출발했다.

개성공단은 2010년 천안함 폭침에 따른 '5·24 조치'로 남북관계가 전면 중단되는 상황에서도 유일하게 살아남았다. 이는 금강산관광이 2008년 7월 11일 북한군에 의한 관광객 박왕자씨 피격사건으로 중단됐고, 남북 간 철도도 같은 해 북측의 이른바 '12·1 조치'로 운행이 중단된 것에 비해 유일하게 남은 성과다.

이 때문에 개성공단은 암암리에 남북 간의 '최후 보루'라는 의미가 부여됐다.

개성공단은 2000년 8월 현대아산과 북측 간 '공업지구개발에 관한 합의서' 채택으로 시작됐으며 아를 통해 현대아산은 1단계 3.3㎢(100만평), 2단계 8.3㎢(250만평), 3단계 18.2㎢(550만평) 및 개성시·확장구역 36.3㎢(1100만평) 등 총 3단계에 걸쳐 66.1㎢(2000만평)을 개발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LH공사는 현대아산과 북한과의 3자 합의를 통해 북측으로부터 50년간 토지 사용권을 확보하고 2004년 6월 시범단지 9만3000㎡(15개 기업), 2005년 9월 본단지 1차 16만9000㎡(23개 기업 및 1개 기관), 2007년 6월 본단지 2차 175만㎡(183개 기업)에 대한 분양을 실시했다.

그러나 현재는 1단계 100만평 기반공사를 끝내고 123개 기업이 입주해 있는 단계다.

개성공단에는 그동안 기반시설과 생산시설 등에 9000억원대의 남측 자본이 투자된 것으로 전해졌다.

개성공단은 2004년 12월 첫 생산품을 출하하기 시작해 지난 1월까지 20억1703만 달러어치를 누적 생산했다. 호주, 러시아, 유럽연합(EU) 등으로 수출되기도 했다. 개성공단에 종사하는 북측 근로자는 5만3000여명에 이른다.

지난해 기준 개성공단에 근무하는 북한 근로자들의 월평균 임금은 144달러로 이 평균임금을 북측 근로자 5만3397명(올해 1월말 기준)에 적용하면 연간 9000만달러 이상의 달러가 북한 당국의 손으로 들어간다.

그러나 개성공단은 신규투자를 금지한 5·24 조치와 3통(상시통행, 인터넷·무선전화, 선별통관) 문제 해결 지연, 노동력 부족 등으로 정체기에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에 감독분담금 청구한다
  • "중국이 중국했다" 손흥민·이강인 향한 좁은 속내…합성사진 논란
  • "올여름 폭염·폭우 지속될 것…미리 대비해야"
  • 지하철서 잠든 이준석 사진 확산…출퇴근 목격담도
  • '밀양 사건' 피해자 "함께 분노해주셔서 감사…반짝하고 끝나지 않길"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라”...쉬지 않고 뻗어나가는 ‘뉴월드’ [정용진號 출범 100일]
  • 뇌전증 전문 교수들, 집단휴진 불참…“환자 위기 빠트리는 행동 삼가야”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661,000
    • -0.39%
    • 이더리움
    • 4,975,000
    • +1.24%
    • 비트코인 캐시
    • 616,500
    • -1.52%
    • 리플
    • 676
    • -0.88%
    • 솔라나
    • 209,100
    • -1.69%
    • 에이다
    • 597
    • -1.32%
    • 이오스
    • 963
    • -0.72%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9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2,000
    • -1.57%
    • 체인링크
    • 21,660
    • -0.91%
    • 샌드박스
    • 561
    • +0.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