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조피렌 어떤 물질인가?

입력 2012-10-25 16: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식품의약품안전청이 농심 라면의 벤조피렌 검출을 이유로 회수 결정을 내린 것으로 알려지면서 벤조피렌의 위험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벤조피렌(benzopyrene)은 1급 발암물질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이 불완전 연소되는 경우 생성되는 물질로 인체에 축적될 경우 암을 유발하고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는 환경호르몬이다.

1915년 일본에서 석탄 타르(tar)를 토끼의 귀에 반복적으로 칠해 처음으로 인공적으로 암을 일으키는 것을 발견했다. 체내에서 대사활성화되는 DNA와 결합함으로써 인체내에서 암을 유발한다.

주된 오염원은 콜타르, 자동차배출가스(특히 디젤 엔진), 담배연기 등 이다. 환경오염으로 인해 농산물, 어패류 등 조리·가공하지 않은 식품에도 벤조피렌이 존재한다.

식품의 경우 불꽃이 직접 식품에 접촉할 때 생길 수 있는데, 육류를 불에 구울 때 고기가 타거나 검게 그을린 부분에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가 만들어지고, PAHs 중에서도 벤조피렌은 잔류기간이 길고 독성도 강하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인체 발암물질(carcinogenic to humans)로, 우리나라 노동환경건강연구소는 2010년 발암물질목록1.0에서 인체 발암성 물질(Human carcinogen) 지정해 놓고 있으나 아직까지 기준치는 없는 실정이다.

벤조피렌에 다량으로 노출될 경우 적혈구가 파괴돼 빈혈을 일으키고 면역계가 저하된다. 장기간 노출시 발생 및 생식 독성이 있고 암발생률도 높아진다.

식용유지류(식용유,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참기름, 들기름 등)와 볶음견과류(땅콩, 아몬드 등), 훈제식품(소시지, 햄 등), 숯불구이 등의 식품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또 적합하지 못한 방법으로 제조된 한약재에도 검출되는 사례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문수, 의총서 큰절...“더 넓게 품지 못한 점 사과드려”
  • '뽀빠이' 故 이상용, 영정 속 환한 미소⋯10일 빈소 마련 '향년 81세'
  • 추락하는 韓경제...올해 1분기 성장률 주요 19개국 중 꼴찌
  • ‘디플레 수렁’ 빠진 중국…4월 CPI, 3개월째 마이너스
  • '코리아 타이거' 이정영, UFC 315 페더급 경기서 판정패
  • '도원이영' 커플 탄생에 '언슬전' 최고 시청률 돌파…'슬의생' 넘을까?
  • '상승 vs 하락'…서학개미, '우왕좌왕' 장세 심화
  • 완봉승 앞두고…교체된 와이스, 완벽투로 한화 12연승 합작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752,000
    • +1.24%
    • 이더리움
    • 3,514,000
    • +1.27%
    • 비트코인 캐시
    • 572,500
    • -2.39%
    • 리플
    • 3,317
    • -1.57%
    • 솔라나
    • 241,300
    • +0.54%
    • 에이다
    • 1,134
    • +0%
    • 이오스
    • 1,262
    • -2.02%
    • 트론
    • 369
    • +1.37%
    • 스텔라루멘
    • 430
    • +0.9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650
    • -1.62%
    • 체인링크
    • 23,720
    • +1.58%
    • 샌드박스
    • 500
    • +1.8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