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인지도는 높은데 대응 실천은 미온적

입력 2012-08-03 10: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민 98.9%가 체감한다고 응답해

우리나라 국민이 느끼는 기후변화에 대한 체감도와 기후변화 영향의 심각성 인지 수준은 2010년에 비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실천 정도는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기후변화에 따른 소비자 식품안전 인식을 제고하고 기후변화 대응 홍보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한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설문 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일상 생활에서의 기후변화 체감 정도를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98.9%가 체감한다고 응답해 2010년 조사 결과인 88.1%보다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지성 호우 현상(4.27점) △여름철 냉방기기 가동 시간 증가(4.26점) △열대야 일수 증가(4.25점)에 의한 체감도가 높았다.

기후변화 영향이 심각하다고 인지하는 응답자는 전체 91.3%로 2010년 76.1%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응답자(91.9%)가 ‘우리나라 평균 기온 상승이 지구 온난화 때문’이라고 응답했으며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농산물 생산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 응답자고 전체 88.6%에 달했다.

또 응답자의 70% 이상이 기후변화가 결과적으로 식품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고 응답했다.

특히 △가축 질병 발생 증가(4.14점) △농약 사용량 증가(4.08점) △농산물 중금속 오염 증가(4.04점) △신종플루 등 해외 신종 병원체 유입(4.01점) 등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한편 이러한 기후변화 영향 심각성 인지 정도에 비해 소비자들의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자세(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행동)는 미온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산화탄소 배출을 낮추기 위한 행동 중 비교적 실천을 잘하는 행동은 △외출 시 소등하고 사용하는 곳만 전등 켜기(4.01점) △에너지효율이 높은 가전제품 구매(3.76점) △수도꼭지 틀지 않고 세수나 양치질하기(3.70점) △가까운 거리는 걷기(3.68점) 순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식품관리와 관련한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에 대한 실천 정도를 측정한 결과 평균 3.49점으로 중요성 인식도 3.96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후변화 대응 행동이 미흡한 이유로는 ‘그냥 귀찮아서’라는 응답이 전체 27.8%를 차지해 가장 많았지만 2010년 조사 당시에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구체적인 방법 등 정보가 부족 하다는 답변이 다소 높게 나타났던 것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 밖에도 △혼자해서는 효과가 없을 것 같아서(22.4%) △개인에게 당장 이득이 없고 힘만 들어서(18.3%) 등의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식약청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 인식 제고를 위해 홍보 자료 개발 및 교육 실시 등 적극적 대국민 홍보를 해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약 600개 살포…서울·경기서 발견"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창어 6호’ 달 뒷면 착륙…‘세계 최초’ 토양 샘플 회수 눈앞
  • 의대 지방유학 '강원·호남·충청' 순으로 유리…수능 최저등급 변수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775,000
    • +0.22%
    • 이더리움
    • 5,321,000
    • +0.81%
    • 비트코인 캐시
    • 648,500
    • +1.57%
    • 리플
    • 725
    • -0.28%
    • 솔라나
    • 232,300
    • -0.56%
    • 에이다
    • 632
    • +1.12%
    • 이오스
    • 1,134
    • +0.09%
    • 트론
    • 158
    • +1.28%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50
    • -0.7%
    • 체인링크
    • 25,870
    • +0.66%
    • 샌드박스
    • 627
    • +3.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