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돈의 시대, 대가들의 투자법] 폴슨, 구겨진 명성 회복할까.

입력 2012-06-05 09: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채 매도 등 유럽 재정위기 악화에 베팅

▲존 폴슨 폴슨앤컴퍼니 대표는 유럽 재정위기가 더욱 악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폴슨이 지난해 2월23일(현지시간) 미 외교정책협회(FPA)가 주최하는 연례 금융서비스 종사자를 위한 만찬 모임 참석 도중 깊은 생각에 잠겨있다. 블룸버그

존 폴슨 폴슨앤컴퍼니 대표가 구겨진 명성을 회복할 기회를 노리고 있다.

그가 운용하는 어드밴티지펀드와 어드밴티지 플러스 펀드는 지난해 각각 마이너스(-) 35.9%와 -50.7%의 투자수익률을 기록하는 참담한 실적을 올렸다.

신용등급 강등에 미국 국채 가격 하락에 베팅했다가 시장이 반대로 움직이면서 막대한 손실을 본 것이다.

폴슨이 올해 그의 명성을 회복하기 위해 유럽 재정위기에 베팅하고 있다.

지난 2007년 미국 부동산버블 붕괴를 예견해 막대한 수익을 올렸던 성공신화를 재현하려는 셈이다.

그는 지난 4월 투자자들과 가진 전화회의에서 “유럽의 대표적 안전자산인 독일 국채도 위기에 예외가 될 수 없다”면서 “독일 등 유럽 국채에 매도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유럽 국채의 부도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한 신용부도스왑(CDS) 상품도 사들이고 있다.

폴슨은 “스페인 은행들은 정부 국채를 대량 보유하고 있고 유럽중앙은행(ECB)의 자금지원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면서 “스페인이 유럽 재정위기를 악화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스페인 10년물 국채 금리는 최근 구제금융의 심리적 저항선인 7%에 근접하고 있다.

그는 또 유럽 재정위기 이외 글로벌 경제불확실성 요소로 중동의 긴장고조와 중국의 경기둔화, 유가 상승 등을 꼽았다.

한편 존 폴슨은 지난 1분기에 세계 최대 카지노 운영업체인 시저스엔터테인먼트와 남아프리카 금광업체 앵글로골드아샨티, 텍사스 소재 정유사 CVR에너지 등의 주식을 매입했다.

폴슨은 “시저스는 호텔과 카지노, 온라인 도박 등 다양한 사업 부문을 갖고 있고 자산이 시가총액의 50%에 이를 정도로 저평가돼 있다”고 매입 배경을 설명했다.

앵글로골드에 투자한 것은 폴슨의 강한 금 선호를 반영한다는 평가다.

폴슨은 금이 인플레이션을 헤지하는 가장 좋은 수단이며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에 장기적인 상승 추세를 보일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이어 첸백시까지…'분쟁'으로 바람 잘 날 없는 가요계 [이슈크래커]
  • "여름에는 비빔면"…부동의 1위 '팔도비빔면', 2위는? [그래픽 스토리]
  • 박스권에 갇힌 비트코인, 美 경제 지표·연준 눈치 보며 연일 횡보 [Bit코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방탄소년단 진 전역 D-1, 소속사의 당부 인사 "방문 삼가달라"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8시 월드컵 예선 6차전 중국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706,000
    • -2.68%
    • 이더리움
    • 4,955,000
    • -3.66%
    • 비트코인 캐시
    • 635,500
    • -2.16%
    • 리플
    • 682
    • -1.87%
    • 솔라나
    • 216,000
    • -3.27%
    • 에이다
    • 605
    • -1.63%
    • 이오스
    • 973
    • -1.72%
    • 트론
    • 165
    • +1.23%
    • 스텔라루멘
    • 138
    • -1.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74,000
    • -5.67%
    • 체인링크
    • 21,840
    • -2.41%
    • 샌드박스
    • 566
    • -2.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