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거노인 120만명…‘돌봄 서비스’확대

입력 2012-05-11 15: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복지부, ‘독거노인 종합지원대책’발표

독거노인을 정기적으로 방문해 안부를 묻는 ‘노인돌봄 기본 서비스’ 대상이 2015년까지 30만명으로 늘어난다. 또 빈곤층 독거노인에 대해 노인 일자리가 우선 제공된다.

보건복지부는 11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독거노인 종합지원대책’을 발표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현재 독거노인 인구는 119만명으로 2000년 54만명에 비해 2.2배 증가했다. 2035년에는 현재의 약 3배인 343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독거노인의 증가는 미혼·이혼 가구의 급증으로 인해 가속화 되고 있으며 앞으로 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내놓은 종합대책에 따르면 정부는 매년 독거노인 전체에 대한 현황조사를 추진하고, 이들을 위기가구·취약가구·관심필요가구·자립가구 등으로 분류, 데이터베이스화 해 관리하게 된다.

현재 시행중인‘노인돌봄 기본 서비스’의 노인돌보미가 현황조사를 담당하게 되며, 현재 5485명인 노인돌보미 수는 2015년까지 1만여 명으로 확대된다. 이에 따라 이들이 담당하는 독거노인의 수는 현재 14만여 명에서 2015년 30여만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또 차상위계층에도 못미치는 빈곤층 독거노인에 대해 일자리 선정시 가점을 부여하고 맞벌이 부부의‘나홀로 아동’을 돌봐주는 아이돌보미로 우선 선발하게 된다.

한편 노인 치매환자가 올해 52만2000명에서 2030년에는 113만5000명으로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노인 자살자도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독거노인이 각종 위험에 취약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복지부는 이런 상황을 감안, 노인돌보미를 통해 자살 고위험군 독거노인의 발굴 및 신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하고 특히 치매 유병률이 높은 75세 이상 독거노인에 대해서는 치매검진을 우선적으로 실시하도록 했다.

또 방문건강관리서비스를 통해 빈곤 독거노인의 만성질환을 관리하기로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종합대책을 마련했지만 독거노인의 문제는 정부의 지원 확대만으로는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라며 “민관 협력을 통해 독거노인에 대해 돌봄 문화가 사회 전체로 확산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이어 첸백시까지…'분쟁'으로 바람 잘 날 없는 가요계 [이슈크래커]
  • "여름에는 비빔면"…부동의 1위 '팔도비빔면', 2위는? [그래픽 스토리]
  • 박스권에 갇힌 비트코인, 美 경제 지표·연준 눈치 보며 연일 횡보 [Bit코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방탄소년단 진 전역 D-1, 소속사의 당부 인사 "방문 삼가달라"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8시 월드컵 예선 6차전 중국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300,000
    • -1.87%
    • 이더리움
    • 4,939,000
    • -3.7%
    • 비트코인 캐시
    • 631,500
    • -3.95%
    • 리플
    • 677
    • -2.59%
    • 솔라나
    • 211,100
    • -5.88%
    • 에이다
    • 597
    • -3.08%
    • 이오스
    • 967
    • -2.32%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8
    • -1.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72,500
    • -5.91%
    • 체인링크
    • 21,220
    • -4.46%
    • 샌드박스
    • 561
    • -3.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