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 view point] 美 3차 양적완화 놓고 ‘갑론을박’

입력 2012-04-12 08: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의 3차 양적 완화(QE3) 재개 가능성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올해 초와 비교했을 때 QE3 시행 의지가 상대적으로 누그러졌지만 혼조세를 보이는 경기상황에 시행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는 분위기다.

12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달에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위원들간에 QE3 지원책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일부 정책위원들은 추가적인 양적완화 정책에 반대하는 입장을 내비쳤고, 버냉키 의장을 비롯한 온건파 위원들은 가능성을 여전히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도파로 분류되는 록하트(Lockhart) 애틀랜타(Atlanta) 연은 총재는 “현재의 경제 상황이 충분히 긍정적이라고 평가하고 심각할 정도로 악화되지 않는 한 또 한 차례의 양적완화를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경파인 래커(Lacker) 리치몬드(Richmond) 연은 총재와 온건파인 피아낼토(Pianalto) 클리브랜드(Cleveland) 연은 총재 등도 추가 양적완화에 반대 입장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버냉키 의장을 비롯한 일부 의원들은 여전히 높은 수준의 실업률, 인플레이션 위험은 제한적인 점 등을 근거로 추가적인 완화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양적완화 논란의 배경에는 혼조세를 띄는 미국의 경제 상황이 주요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고용, 소비자심리 등 주요 지표들이 뚜렷한 방향성을 나타내고 있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고용부문의 경우 고용증가세가 기대치를 밑돌았지만 실업률과 실업수당 신청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심리 지표는 조사기관마다 차이를 보였다. 미시건 대학은 소비심리지수가 지난해 8월부터 6개월 연속 상승해 지난달에 13개월만에 최고치인 76.2로 집계됐다고 분석한 반면 컨퍼런스 보드는 올해 2월 71.6에서 지난달에 70.2로 하락한 것으로 집계했다.

국제금융센터는 “연준 정책위원들 사이의 이와 같은 논쟁을 감안할 때 QE3를 서둘러 시행할 가능성은 낮아 보이지만 당분간 사태의 추이를 지켜보며 고용상황 개선이 미진하거나 경기 회복세가 둔화되는 조짐이 나타날 경우 다시 검토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에 감독분담금 청구한다
  • "중국이 중국했다" 손흥민·이강인 향한 좁은 속내…합성사진 논란
  • "올여름 폭염·폭우 지속될 것…미리 대비해야"
  • 지하철서 잠든 이준석 사진 확산…출퇴근 목격담도
  • '밀양 사건' 피해자 "함께 분노해주셔서 감사…반짝하고 끝나지 않길"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라”...쉬지 않고 뻗어나가는 ‘뉴월드’ [정용진號 출범 100일]
  • 뇌전증 전문 교수들, 집단휴진 불참…“환자 위기 빠트리는 행동 삼가야”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11:4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648,000
    • -0.99%
    • 이더리움
    • 4,955,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615,000
    • -3.07%
    • 리플
    • 679
    • -1.31%
    • 솔라나
    • 209,600
    • -2.47%
    • 에이다
    • 600
    • -1.8%
    • 이오스
    • 958
    • -2.24%
    • 트론
    • 166
    • +0.61%
    • 스텔라루멘
    • 139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2,100
    • -1.97%
    • 체인링크
    • 21,700
    • -1.45%
    • 샌드박스
    • 559
    • -1.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