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텍스, 스마트 섬유 기술력 세계 시장서 통하다

입력 2012-02-03 08: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경찬 벤텍스 대표가 기능성 섬유의 성능을 평가하고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는 자체 개발한 설비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기능성 섬유 전문 업체인 벤텍스는 올해 공장 증설 및 사업 다각화로 글로벌 파트너십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100%의 매출 신장 목표를 세웠다.

기능성 섬유는 일반인에게는 다소 생소하지만 아웃도어 의류시장에서는 각광받는 아이템이다. 벤텍스는 설립 당시부터 10여 년간 고기능성 섬유 연구개발(R&D)에만 매진해 왔다. 그 결과 현재 70여개의 자체 특허와 150여개의 국내외 상표권을 보유하고 있다.

벤텍스는 1초 만에 마르는 ‘드라이존(Dry-Zone)’을 비롯해 냉감섬유인 ‘아이스필(Ice-Fil)’과 발열섬유 ‘메가히트’, 아토피 완화섬유 ‘스킨닥터’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지속적인 하이테크(High Tech) 제품 개발 노력의 산물이다. 1초 만에 땀을 제거하는 섬유와 땀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섬유, 땀을 통해 변신하는 스마트 섬유를 차례로 개발하며 기술력을 진화시켜 왔다.

‘드라이존’은 기능성 섬유의 본고장인 일본을 시작으로 수출 길을 여는 첨병 역할을 했다. 벤텍스는 이후 미국과 캐나다, 중국, 유럽 등 세계 톱 의류브랜드에 고기능성 소재를 추가로 공급하며 수출주도형 기업으로 성장했다.

고경찬 벤텍스 대표는 “부설 섬유과학연구소에서 자체 개발한 설비시스템을 통해 섬유의 기능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게 됐다”면서 “고객들로부터 다양한 기능성 소재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벤텍스가 2010년 개발한 ‘스마트 섬유’는 땀을 흡수하면 저절로 피부에서 떨어졌다 땀이 마르면 다시 제 위치를 찾는 기능성 섬유다. 점 접촉 형태로 직물구조가 변하면 원단 90% 이상이 몸에서 떨어져 옷이 휘감기지 않고, 섬유와 피부 사이에 공기 유입량이 늘어 건조 속도도 50% 이상 빨라진다. 여기에는 폴리메르 설계기술과 섬유구조체 등 벤텍스의 독자 기술이 적용됐다.

고 대표는 “스마트 섬유는 100% 국산 기술을 사용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다”며 “2020년 약 1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인 고기능성 섬유시장에서 5%를 점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앞으로 내부 환경에 반응하는 생체센싱섬유를 개발해 땀을 통해 건강을 체크하는 메디컬 섬유 부분으로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벤텍스는 올해 기존의 노스페이스, 아디다스, 콜롬비아, 뉴발란스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리딩 브랜드와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새로운 협력업체를 발굴해 생산 캐파(capa)를 늘려나갈 예정이다. 또한 국내외 홈쇼핑 판매 등 다양한 판로를 개척해 올해 매출 500억원 달성에 주력할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북한 3차 오물 풍선 살포에 모든 부대 휴일에도 비상근무
  • 은행권 자영업자 연체율 ‘경고등’…11년만에 최고
  • '그알' 태국 파타야 살인 사건, 피해자 전 여자친구…"돈 자랑하지 말랬는데"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국회 예산 협조부터 '난항' 전망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 정부, 9일 의협 집단휴진 예고에 총리 주재 대응방안 발표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074,000
    • +0.23%
    • 이더리움
    • 5,206,000
    • +0.1%
    • 비트코인 캐시
    • 667,000
    • -1.33%
    • 리플
    • 700
    • -0.57%
    • 솔라나
    • 224,300
    • -2.31%
    • 에이다
    • 621
    • -1.27%
    • 이오스
    • 1,000
    • -2.63%
    • 트론
    • 163
    • +2.52%
    • 스텔라루멘
    • 141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0,050
    • -2.56%
    • 체인링크
    • 22,720
    • -1.09%
    • 샌드박스
    • 586
    • -4.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