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銀 새 부서이름 “애매합니다”

입력 2011-12-26 10:15 수정 2011-12-26 10: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4개월간 진행…위원회·부서 이름 못정해

“일단 정하면 바꾸기 어려워” 고민 고민…

청와대가 송년행사로 KBS 개그콘서트의 ‘비상대책위원회’를 초청하려 했다면 한국은행은 ‘애매한 걸 정해주는 남자’를 초대하는게 필요할 듯 하다.

사연인 즉 최근 4개월 동안 진행한 조직개편 때문이다. 이번 개편 작업에서 조직개편 특별팀이 가장 곤혹스러던 것이 위원회 및 부서의 이름을 정하는 일이었다. 처음에 정한 이름으로 하자니 대내외적인 상황을 고려해야해 애매하고 다른 이름으로 하자니 당초 취지와 맞지 않아 모호했다.

특별팀에 참여했던 관계자도 “부서 간 역할에 대해 선을 긋는 것은 어렵지 않았으나 이름을 정하는 일이 가장 어려웠다”고 털어놓을 정도다.

한은의 집안살림을 재정비하는 것이었음에도 이 같은 어려움을 겪었던 것은 최근의 금융 시장 상황과 맞물려 있다. 이번 조직개편은 한은법 개정으로 금융안정 기능이 추가된 데 따른 것이다. 한은법 개정 취지에 맞춰 이를 논의하기 위한 위원회 이름을 금융안정위원회로 하자니 너무 뻔했다. 또 ‘정책’이란 이름을 넣자하니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국과 겹쳐 하지 못했다.

이런 저런 상황을 감안해 최종적으로 나온 것이 거시건전위원회다. 지난 9일 금융통화위원회에 이러한 초안을 보고했지만 금통위도 만족스럽지 않는 분위기다.

언뜻 이름이 뭐길래 그러냐는 의문이 들 수 있지만 한 번 정하면 바꿀 수 없는 노릇이다. 김중수 총재 역시 이름 하나하나를 꼼꼼히 챙기며 관심을 쏟았다.

초안을 정하고 나니 또 은행 내부에서 마뜩치가 않았다. 총무국을 경영지원국으로 바꾸기로 했지만 해당 국에서 불만이 일었다. 하는 업무가 경영지원 뿐 아니라 인사와 급여후생도 담당하는데 이름이 업무를 포괄하지 못한다는 이견이다. 다른 부서 역시 만족하지 못해 이견을 제시하긴 마찬가지였다.

어찌됐든 이 같이 애매한 상황을 거쳐 최종 이름은 늦어도 내년 1월 초에는 가닥이 잡힐 예정이다. 최종 조직개편안은 2월 정기인사와 함께 적용된다. 부모가 정해준 제 이름도 만족하지 못하는 일이 수둑룩하다. 한은도 이름을 둘러싼 진통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항상 화가 나 있는 야구 팬들, 행복한 거 맞나요? [요즘, 이거]
  • 지난해 '폭염' 부른 엘니뇨 사라진다…그런데 온난화는 계속된다고? [이슈크래커]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장군의 아들' 박상민, 세 번째 음주운전 적발…면허 취소 수치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9·19 군사합의 전면 효력 정지...대북 방송 족쇄 풀려
  • 단독 금융위 ATS 판 깔자 한국거래소 인프라 구축 개시…거래정지 즉각 반영
  • KIA 임기영, 2년 만에 선발 등판…롯데는 '호랑이 사냥꾼' 윌커슨으로 맞불 [프로야구 4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857,000
    • -0.34%
    • 이더리움
    • 5,232,000
    • -1.36%
    • 비트코인 캐시
    • 649,500
    • +0.15%
    • 리플
    • 727
    • +0.55%
    • 솔라나
    • 230,000
    • +0.09%
    • 에이다
    • 633
    • +0.32%
    • 이오스
    • 1,098
    • -3.68%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6
    • -1.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950
    • -0.12%
    • 체인링크
    • 24,520
    • -2.7%
    • 샌드박스
    • 627
    • -2.9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