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사망]北리스크 국내 영향 제한적이었다

입력 2011-12-19 13:32 수정 2011-12-19 16: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내 증시에 미칠 영향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과거 북한 관련 리스크가 발생했을 때 코스피는 대부분 단기 영향을 받은 후 이를 저점으로 상승한 경우가 많았다.

19일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지난 17일 오전 8시30분쯤 과로로 열차에서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이 소식이 전해진 이후 코스피 지수는 낙폭이 더욱 확대됐다. 코스피 지수는 오후 12시 48.08포인트(2.61%) 내린 1791.93에서 12시40분 현재 1756.85로 35포인트 이상 추가로 떨어졌다.

과거 사례를 살펴보면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김정일 사망 소식이 전해진 1994년 7월8일 코스피는 전일대비 0.34% 상승했다. 다음 거래일에도 장중 2.11% 하락했다가 -0.8%까지 낙폭을 만회했다.

1차 연평해전이 발행한 1999년 6월15일은 장중 코스피가 3.9%까지 하락했다 -2.21%(803.72)로 하락률을 줄이면서 장을 마쳤다.

코스피는 이후 1달 만에 1052.59로 고점을 기록했다.

2차 연평해전이 발생한 6월29일(토요일) 이후 첫거래일인 7월2일에는 시가 -2.71%로 하락 출발했지만 이를 저가로 0.47%(746.23) 상승 마감했다. 이후 코스피는 807까지 올랐다.

북한이 핵실험을 했을 때도 코스피는 단기 충격을 받은 후 상승흐름을 보였다.

1차 핵실험이 있던 2006년 10월9일 코스피는 2.41% 하락한 1319.40으로 장을 마친 후 1300 초반에서 등락을 거듭하다 5일 후 1399.44까지 상승했다.

북한이 2차 핵실험을 한 2009년 5월25일에는 장중 6.31% 하락했다가 -0.2%(1400.90)으로 낙폭을 대부분 만회하며 장을 마감했다. 이후 한달간 코스피는 1360~1450사이의 박스권 등락을 거듭하다 석달뒤 1600선까지 상승했다.

천안함이 침몰했을 때(2010년 3월26일)는 0.34%(1691.99) 떨어졌다가 한달 뒤 1750선까지 상승했다.

가장 최근 연평도발 때(2010년 11월23일)에도 코스피는 0.34% 하락에 그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900,000
    • +1.09%
    • 이더리움
    • 5,236,000
    • -0.74%
    • 비트코인 캐시
    • 653,500
    • +1.08%
    • 리플
    • 726
    • -1.09%
    • 솔라나
    • 233,200
    • +0.21%
    • 에이다
    • 626
    • -1.73%
    • 이오스
    • 1,121
    • -0.36%
    • 트론
    • 156
    • +0%
    • 스텔라루멘
    • 148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150
    • -0.17%
    • 체인링크
    • 25,400
    • -2.68%
    • 샌드박스
    • 611
    • -2.7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