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亞증시 오후] 유럽 채무위기 공포...일제히 하락

입력 2011-09-06 16: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日 닛케이, 2009년 4월 이후 최저치...中 상하이 0.33%↓

아시아 주요증시는 6일 일제히 하락했다.

독일 집권여당이 지방선거에 참패하면서 유럽 재정위기 우려가 커진 것이 악재로 작용했다.

일본증시 닛케이225 지수는 전일 대비 193.89포인트(2.21%) 급락한 8590.57로, 토픽스 지수는 14.62포인트(1.93%) 내린 741.20으로 마감했다.

중국증시 상하이종합지수는 8.21포인트(0.33%) 밀린 2470.52로 거래를 마쳤다.

대만증시 가권지수는 184.38포인트(2.44%) 떨어진 7367.19로 마감했다.

홍콩증시 항셍지수는 오후 4시15분 현재 70.42포인트(0.39%) 빠진 1만9545.98을 기록하고 있다.

싱가포르증시 ST지수는 26.30포인트(0.95%) 내린 2746.87을, 인도증시 센섹스지수는 80.71포인트(0.48%) 밀린 1만6632.62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날 일본증시는 미국 경기둔화와 유럽 재정위기에 대한 우려에 사흘째 하락했다.

닛케이 지수는 지난 2009년 4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특징종목으로는 일본 1위 은행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이 2.7% 급락했다.

도시바는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지분 20% 인수를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에 자금 부담 우려로 5.1% 폭락했다.

중국증시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더불어 긴축정책으로 인한 중국 경제 둔화 불안에 나흘째 떨어졌다.

중국거시경제연구원의 왕젠 사무총장은 “정부가 긴축 고삐를 늦추지 않을 경우 경제성장률이 내년 1분기에 7%선으로 후퇴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업종별로는 원자재 관련주가 경기둔화로 인한 수요감소 우려로 약세를 보였다.

중국 1위 시멘트업체 안후이콘치시멘트가 5.2%, 구리생산업체 윈난쿠퍼가 3.1% 각각 급락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이끄는 기독민주당(CDU)은 지난 4일 치러진 메클렌부르크주 의회 선거에서 또다시 참패했다. 기민당은 올들어 치러진 여섯 차례의 지방선거에서 한 번도 이기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선거참패의 주원인으로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남유럽 국가들에 대한 독일의 지원에 유권자들의 반발이 커진 것을 꼽았다.

이에 유럽 최대 경제대국인 독일의 지원이 위축될 것이라는 불안이 고조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고우석, 방출대기 명단 올랐다…메이저리그 입성 물 건너가나
  • 정용진 부부 데이트 현장 포착한 '밥이나 한잔해'…식당은 어디?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단독 줄줄이 터지는 금융사고에... 6월 금융판 암행어사 뜬다
  • 무용가 이선태, 마약 투약 및 유통…'댄싱9' 다시보기 중단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10:1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281,000
    • +1.68%
    • 이더리움
    • 5,236,000
    • +0.42%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31%
    • 리플
    • 723
    • -0.55%
    • 솔라나
    • 232,500
    • -0.3%
    • 에이다
    • 622
    • -0.64%
    • 이오스
    • 1,120
    • -0.18%
    • 트론
    • 156
    • +0%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450
    • +0.52%
    • 체인링크
    • 24,880
    • -3.04%
    • 샌드박스
    • 608
    • -1.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