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대지진 1개월] 불 꺼진 성장 동력…日, 이러다 영구침체

입력 2011-04-11 00: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개인소비ㆍ기업설비투자 침체...경제성장률 후퇴

대지진과 거대 쓰나미가 일본 동북부를 강타한 지 한 달이 되도록 일본 경제는 여전히 공포와 충격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번 참사로 인한 주택 등 건물과 인프라, 산업계의 피해 규모는 16조∼25조엔(정부 추산)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며, 경제 성장률을 최대 5%까지 후퇴시킬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대지진과 원전 사태 수습이 장기화하면서 가뜩이나 약해진 국력이 재기의 기회를 완전히 상실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최근 엔화 값이 급락하면서 수출업계의 숨통은 트였지만 주력인 자동차와 전자 산업 등이 부품조달난으로 생산에 차질을 빚으면서 엔저는 별다른 상승효과를 내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다 올 여름 전력공급 부족을 대비해 제한송전이 길어질 할 경우 생산과 소비는 더욱 위축될 전망이다.

대지진으로 인한 개인 소비 부진과 기업의 설비투자, 고용 악화라는 악순환이 일본 경제를 장기 침체의 늪으로 몰아가고 있는 셈이다.

일본은 4월이면 전역이 벚꽃놀이 인파로 북적거리지만 올해는 자중하는 분위기가 강하다. 동일본 대지진 여파로 국민들 사이에 불안감이 커지고 자숙하는 분위기가 확산하면서 소비 시장이 꽁꽁 얼어붙은 것이다.

소비는 이미 3월부터 추락했다. 신차 판매는 1년 전보다 37%나 급감했고, 미쓰코시이세탄 등 수도권의 주요 백화점들은 의류품 매출이 50∼60% 정도 줄었다.

대형 여행사인 JTB의 일본 국내 여행예약은 30% 줄었고, 도쿄시민들이 즐겨 찾는 지바현의 가모가와 씨월드는 내장객이 70%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내각부가 소매점 주인과 택시운전수 등을 상대로 조사해 발표하는 길거리 체감경기지수는 3월에 27.7로 전월 대비 무려 20.7포인트나 하락했다. 이는 2000년 1월의 조사를 시작한 이래 최대 하락폭이다.

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는 1995년 1월 오사카와 고베 지역을 강타한 한신대지진 당시에는 1년간 소비가 1조7500만엔 감소했지만 이번엔 소비감소액이 3조엔을 넘어 회복에 최소 2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해 위기감은 한층 고조되고 있다.

올해는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에서 방사성 물질이 계속해서 누출되면서 시민들이 외출을 꺼리는 것도 소비 급감을 부채질하고 있다.

일본의 개인소비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0%로 대지진 여파로 개인소비가 계속 감소할 경우 이는 금융위기 후유증에서 겨우 벗어난 일본 경제에 치명적일 수 밖에 없다.

니혼게이자이 신문이 최근 일본의 11개 민간 싱크탱크를 상대로 조사한 결과,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1분기(1∼3월)에는 평균 마이너스 0.6%, 2분기는 마이너스 2.6% 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또 대지진과 쓰나미가 3월 11일 발생했던 것을 감안하면 2분기에 집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3분기 이후에는 복구와 부흥 예산이 집중적으로 투입되면서 경제성장률이 플러스로 반전해 연간으로는 0.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문제는 도쿄전력이 운영하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로 인한 전력공급 부족이다. 경제산업성은 도쿄전력이 관할하는 수도권의 여름철 전력공급이 최대 4500만㎾에 그치면서 최대 수요(6천만㎾)에 비해 1500만㎾ 부족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올 여름 37년 만에 처음으로 전력사용제한령 발동을 검토하고 있다. 제한송전이 이뤄질 경우 산업계는 가장 큰 차질이 예상되며 금융권과 유통업계에도 충격은 마찬가지다.

일부 경제예측기관은 전력 공급 부족으로 연간 실질 GDP가 0.84%포인트(약 3조9000억엔)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세계경제전망 보고서 초안에서 올해 일본의 성장 전망치를 1.6%에서 1.4%로 하향 조정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대지진 여파로 일본의 GDP 성장률이 1분기에는 최대 0.6%포인트, 2분기에는 최대 1.4%포인트까지 낮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글로벌 자산운용사, ETF로 비트코인 100만 개 확보…마운트곡스, 부채 상환 임박 外 [글로벌 코인마켓]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327,000
    • +0.02%
    • 이더리움
    • 5,201,000
    • -2.11%
    • 비트코인 캐시
    • 645,500
    • -0.54%
    • 리플
    • 721
    • -1.1%
    • 솔라나
    • 230,900
    • -2.78%
    • 에이다
    • 619
    • -2.98%
    • 이오스
    • 1,107
    • -1.86%
    • 트론
    • 154
    • +0%
    • 스텔라루멘
    • 148
    • -1.99%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900
    • -0.69%
    • 체인링크
    • 25,420
    • +0.24%
    • 샌드박스
    • 607
    • -3.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