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亞증시 오후] 실적기대ㆍFOMC 효과로 일제 상승

입력 2011-01-27 16: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中, 부동산 억제정책에도 상승

아시아 주요 증시가 27일 일제히 상승했다.

일본증시 닛케이 225지수는 전일 대비 76.76포인트(0.74%) 상승한 1만478.66으로, 토픽스 지수는 7.02포인트(0.76%) 오른 929.66을 기록했다.

이날 일본증시는 실적 기대감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채권매입 지속 소식에 상승했다.

일본 재무성은 지난해 12월 일본 수출실적이 전년에 비해 13% 증가했다고 밝혔다.

수출주가 이날 증시상승을 견인했다.

일본 최대 산업로봇업체인 화낙은 실적 호조로 4.6% 뛰었다.

중장비업체 미츠비시중공업은 4분기 실적이 전망치를 웃돌 것이라는 닛케이신문의 보도에 4%이상 올랐다.

상품거래업체인 미츠시앤코는 원유와 금속가격 상승에 0.9% 상승했다.

세계 1위 카메라 제조업체 캐논은 2.1% 올랐으며 일본 전기업체 소니는 1.7% 뛰었다.

도시바와 히타치는 공동출자한 일본 최대 원자력발전소 인프라 구축 거래 체결이 임박했다는 닛케이비즈니스의 보도에 1.6%, 2% 각각 상승했다.

마쯔다자동차는 1.2% 상승했으며 도요타자동차는 추가 리콜 사태에도 불구하고 1.1% 올랐다.

하마사키 마사루 도쿄애셋매니지먼트 펀드매니저는 "기업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며 "미국 경제의 미래를 낙관하는 투자자들이 늘었다"고 말했다.

중국증시는 정부의 부동산 과열억제책에도 상승했다.

중국증시의 상하이종합지수는 전일대비 39.46포인트(1.49%) 오른 2749.15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중국 증시는 정부가 과열된 부동산시장을 식히기 위해 규제를 발표하면서 하락 출발했다.

중국 국무원은 주택 공급을 늘리는 대신 2번째 주택 구입시 내야하는 계약금 비율을 전체 집값의 50%에서 60%로 상향 조정했다.

부동산 규제 소식에 부동산 개발주는 급락했다.

부동산개발업체인 완커와 바오리부동산은 각각 2.8%, 4%씩 떨어졌다.

하지만 경기회복 기대감이 시장에 확산되자 원자재주 중심으로 상승흐름을 타면서 증시는 반등에 성공했다.

전날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회의록을 통해 경기부양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다우지수는 장중 한때 1만2000선을 돌파했다.

대만증시 가권지수는 전일 대비 46.74포인트(0.52%) 상승한 9102.33으로 장을 마쳤다.

오후 4시 12분 현재 싱가포르증시의 ST지수는 14.23포인트(0.44%) 상승한 3235.01, 홍콩증시의 항셍지수는 49.51포인트(0.21%) 오른 2만3892.75를 기록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고우석, 방출대기 명단 올랐다…메이저리그 입성 물 건너가나
  • 정용진 부부 데이트 현장 포착한 '밥이나 한잔해'…식당은 어디?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단독 줄줄이 터지는 금융사고에... 6월 금융판 암행어사 뜬다
  • 무용가 이선태, 마약 투약 및 유통…'댄싱9' 다시보기 중단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10:3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243,000
    • +1.45%
    • 이더리움
    • 5,227,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647,500
    • +0.15%
    • 리플
    • 723
    • -0.69%
    • 솔라나
    • 232,100
    • -0.56%
    • 에이다
    • 623
    • -0.8%
    • 이오스
    • 1,124
    • +0.09%
    • 트론
    • 156
    • +0%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550
    • +0.46%
    • 체인링크
    • 24,940
    • -3.82%
    • 샌드박스
    • 608
    • -1.7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