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도전 제4이통 KMI, 성공할 수 있을까

입력 2010-12-07 11: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와이브로 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하겠다며 방송통신위원회에 허가신청을 냈던 한국모바일인터넷(KMI)이 다시 도전장을 내밀며 속도전에 돌입, 기존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을지 관심이 뜨겁다.

KMI는 지난 2일 자금동원 능력이 의심되고 사업계획의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방통위로부터 불허 결정을 받았다. 하지만 보름 만에 지적 받은 사항을 보완해 사업계획서를 다시 작성해 재신청했다.

반면 이같은 적극적인 행보에도 업계와 방통위의 시각은 여전히 싸늘한 것이 사실. 국내 소비자들의 눈높이를 맞추기 위한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지가 관건이며 KMI가 기지국 공용화에 나설 예정이지만 기존에 수조원을 투자한 통신3사들이 얼마나 협조할 지 미지수라는 것.

공종렬 KMI 대표는 6일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주주들의 이름을 제외한 역할과 의무를 공개하며 국내 자본조달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일축했다.

공 대표는 “허가 부적격 판정 후 보름 만에 사업 허가 재신청을 한 것에 대해 많은 분들이 걱정 어린 관심을 보여줬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면서 “하지만 2012년 말 일본, 미국에 앞서 150Mbps 다운로드 속도의 제4세대 표준 방식 와이브로 서비스에서만큼은 우리나라가 선두에 서야한다는 신념으로 지체할 겨를이 없었다”고 말했다.

특히 공 대표는 엠브레인을 통한 국민주 참여의향 조사 결과 응답자의 65%가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며 투자 유치에 문제가 없음을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KMI 국민주를 액면가 대비 3배 이상 할증 발행할 경우라도 청약참여자의 최대 투자 규모는 7조8335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는 것.

공 대표는 “타블로 사건처럼 도저히 안 믿으려고 하는 사람들한테 방법이 없어서 국내 시장 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해 시장조사를 해본 것”이라며 “실제 국민주를 발행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해외자본 유치에 문제가 없음을 알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기지국 공용화 우려에 대해서 공 대표는 KMI가 필요한 기지국이 5만5000개 인데 그것의 3.7배를 이통3사가 가지고 있다면서 공유 못한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못 박았다. 또 기지국 공용화의 성패는 KT와 SKT와 같은 이통사가 승인할 문제가 아니라 건물주와 계약체결에 달려있다고 덧붙였다.

또 KMI가 기존 이통 3사 대비 최소 20% 이상 저렴한 요금을 바탕으로 수립한 사업계획으로 허가신청을 한 것에 대해 이통사가 같이 요금인하를 단행할 경우 현실성을 상실한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이에 대해 공 대표는 “같은 논리로 기존 이통 3사의 경우 경상손실의 누적이 현재 재무자료로서 뻔히 예상되는데 KMI와 요금 인하 경쟁에 나설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며 “우리 역시 통신사업자간의 요금경쟁이야말로 가장 치졸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경쟁형태로 생각하고 있다”며 기존 이통3사와 요금으로 경쟁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전략적으로 향후 1억 가입자까지도 바라볼 수 있는 1인 다단말기 시대의 데이터공유서비스(OPMD) 시장과 사물통신(M to M) 시장을 겨냥, 무선인터넷에 특화한 미래 잠재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

업계 일각에서는 KMI가 음성위주 보다는 데이터 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주요 주주사들이 얼마나 의지를 가지고 참여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판가름 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방통위는 이달 18일까지 KMI에 대한 적격성 심사에 이어, 이후 2개월 안에 사업계획서 심사를 통해 최종 사업권 허가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항상 화가 나 있는 야구 팬들, 행복한 거 맞나요? [요즘, 이거]
  • 지난해 '폭염' 부른 엘니뇨 사라진다…그런데 온난화는 계속된다고? [이슈크래커]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장군의 아들' 박상민, 세 번째 음주운전 적발…면허 취소 수치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9·19 군사합의 전면 효력 정지...대북 방송 족쇄 풀려
  • 단독 금융위 ATS 판 깔자 한국거래소 인프라 구축 개시…거래정지 즉각 반영
  • KIA 임기영, 2년 만에 선발 등판…롯데는 '호랑이 사냥꾼' 윌커슨으로 맞불 [프로야구 4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248,000
    • -0.5%
    • 이더리움
    • 5,247,000
    • -1.46%
    • 비트코인 캐시
    • 648,500
    • +0.08%
    • 리플
    • 730
    • +0.83%
    • 솔라나
    • 230,800
    • -0.17%
    • 에이다
    • 633
    • +0%
    • 이오스
    • 1,106
    • -2.9%
    • 트론
    • 159
    • +0%
    • 스텔라루멘
    • 146
    • -2.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150
    • -0.64%
    • 체인링크
    • 24,750
    • -1.98%
    • 샌드박스
    • 628
    • -2.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