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회장 복귀 100일...삼성에 무슨 일이?

입력 2010-07-01 09:14 수정 2010-07-01 15: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그룹 및 전자 46조 투자 발표...경영속도 가속화

지난 2008년 4월 22일. 한국 재계를 대표하는 이건희(68ㆍ사진) 삼성그룹 회장은 삼성특검 등과 관련 국민들에게 죄송하다는 말을 남기고 은퇴를 선언했다.

당시 이 회장의 퇴진은 재계뿐만 아니라 정치,사회,경제 등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충격으로 다가 왔으며, 언론은 이를 대서특필하기도 했다.

이후 꾸준히 경영복귀에 대한 전망이 나오곤 했지만 이 회장과 삼성측은 경영복귀에 대한 여지만을 남긴 채 어떤 확답도 없었다. 하지만 그로부터 23개월 후.

지난 3월 24일 삼성그룹 이인용 부사장(커뮤니케이션팀장)은 "이건희 회장이 삼성전자 회장으로 경영에 복귀한다"고 이 회장의 공식 복귀를 밝혔다.

2008년 4월, 이 회장의 퇴진과 전략기획실의 해체로 그룹 전체의 컨트롤타워가 없어졌다는 내부적인 아쉬움이 존재했지만, 이 회장의 복귀로 그룹 주력계열사인 삼성전자는 다시 한 번 구심점을 갖게 됐다.

◇ 신수종사업 등 공격경영 나서

이건희 회장의 경영복귀 이후 가장 눈에 띄는 점은 '폭탄'으로 불리어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한 점이다.

이 회장을 중심으로 한 삼성의 이같은 대규모 투자 결정에는 이 회장의 복귀 일성이었던 "지금이 진짜 위기다. 글로벌 일류 기업이 무너진다. 삼성도 어찌 될지 모른다. 10년 안에 삼성을 대표하는 사업과 제품이 사라질 것이다. 다시 시작해야 한다.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앞만 보고 가자."라는 말과 궤를 같이 한다.

이 회장은 복귀 후 49일이 지난 5월 11일 그룹 전사적으로 향후 10년 간 친환경 및 헬스케어 신수종 사업에 총 23조3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회장은 신수종사업 투자 발표가 있은 지 채 일주일이 안돼 삼성전자가 반도체 11조원, LCD 5조원 등 시설투자 및 연구개발(R&D) 투자 8조원을 포함해 총 26조원 규모의 올해 투자계획도 발표했다. 26조원은 삼성전자의 연간 투자규모로는 사상 최대 규모.

업계 안팎에서는 이 회장의 복귀가 삼성전자를 포함한 그룹 전반에 커다란 동기부여로 작용해 공격적인 투자가 이뤄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 "회장님이 오셨다. 경영속도를 높이자"

이 회장 복귀 이후 눈에 띄게 삼성전자의 경영과 제품 출시가 속도를 내고 있는 점이다. 그 첫 단추는 삼성전자 스스로 '수퍼 스마트폰'이라고 일컫는 ‘갤럭시S'의 출시.

업계 관계자는 "이 회장이 복귀한 직후 제품 출시를 앞당기라는 특명(?)을 전사에 지시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또한 계열사인 삼성SDS가 운영체제(OS) 전문개발업체인 티맥스코어를 인수한 것도 이 회장의 복심이라는 평이 우세하다.

이 회장이 경영복귀시 강조하던 부분이 OS와 소프트웨어를 위시한 모바일 생태계 구축에 관련된 것이었기 때문이다.또한 신수종 사업 가운데 한 분야인 의료기기 분야에서도 삼성전자는 지난 29일 다기능 혈액진단기를 출시했다.

4년전부터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었지만, 신수종 사업 투자계획 발표 후 두 달이 채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제품이 출시된 것은 이 회장의 공격적 경영스타일이 반영된 것이다.

◇ 마불정제(馬不停蹄)... 어디까지 달릴까 관심

삼성은 지난 7일 '이건희 신경영 17돌'을 맞아 '마불정제(馬不停蹄, 말이 말굽을 멈추지 않는다)'라는 새로운 화두를 제시했다.

그동안 삼성전자가 이룩한 성과에 안주하지 말고 더욱 발전하고 정진하자는 이 회장의 강력한 의지를 반영한 표현이다.

이 회장이 신경영을 주창했던 1992년 삼성그룹의 매출은 35조7000억원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200조원을 기록하는 등 신경영 이후 외형이 5.6배나 성장했다.

하지만 이 회장은 이같은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상황에 맞서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투자하고, 세계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을 독려하고 있는 것이다.

50조원에 육박하는 대규모의 금액을 투자키로 한 이건희 회장의 결정이 앞으로 어떤 결과물로 나타날 수 있을지 재계 안팎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송다은 "승리 부탁으로 한 달 일하고 그만뒀는데…'버닝썬 여배우' 꼬리표 그만"
  • ’돌아온 외인’에 코스피도 간다…반도체·자동차 연이어 신고가 행진
  • ‘빚내서 집산다’ 영끌족 부활 조짐…5대 은행 보름 만에 가계대출 2조↑
  • “동해 석유=MB 자원외교?”...野, 의심의 눈초리
  • 미끄러진 비트코인, 금리 인하 축소 실망감에 6만6000달러로 하락 [Bit코인]
  • 명승부 열전 '엘롯라시코'…롯데, 윌커슨 앞세워 5연속 위닝시리즈 도전 [프로야구 16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760,000
    • -0.16%
    • 이더리움
    • 5,051,000
    • +0.6%
    • 비트코인 캐시
    • 609,500
    • +0.91%
    • 리플
    • 693
    • +2.06%
    • 솔라나
    • 204,300
    • -0.44%
    • 에이다
    • 586
    • -0.34%
    • 이오스
    • 937
    • +0.43%
    • 트론
    • 163
    • -0.61%
    • 스텔라루멘
    • 138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9,850
    • -1.41%
    • 체인링크
    • 20,960
    • -1.6%
    • 샌드박스
    • 543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