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청, 단순 노화로 치부해선 안돼…삶의 질 전반에 영향 [e건강~쏙]

입력 2025-07-06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선우웅상 가천대길병원 교수 “정기적인 검진과 꾸준한 관심, 적절한 치료 동반돼야”

‘건강을 잃고서야 비로소 건강의 소중함을 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하게 사는 것만큼 소중한 것은 없다는 의미입니다. 국내 의료진과 함께하는 ‘이투데이 건강~쏙(e건강~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알찬 건강정보를 소개합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난청을 노화 현상으로 치부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삶의 질 전반에 영향을 주는 만큼 평소 청력 관리를 통해 조기 발견, 적극적인 치료에 나서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난청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수는 2020년 64만6453명에서 2024년 82만3301명으로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특히 50세 이후부터 급격히 환자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난청은 말, 소리를 듣는 데 어려움이 있는 증상을 의미한다. 난청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유발 원인에 따라 여러 진단명이 있다. 가장 흔한 건 ‘노인성 난청’이다. 자각 증상 없이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내버려 두는 경우가 많다. 초기에는 말소리가 웅얼거리거나, 여성·어린아이처럼 높은 톤의 목소리가 잘 안 들리는 식으로 시작된다. ‘나이가 들어서 그렇다’로 치부하고 뒤늦게 병원을 가게 되면, 이미 청력 손상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젊은 층에서도 난청 위험이 커지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원인이 ‘소음성 난청’이다. 일상에서 고음량으로 이어폰을 장시간 사용하는 습관이나, 시끄러운 작업 환경, 잦은 클럽·콘서트 출입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외에도 별다른 원인 없이 갑자기 청력이 많이 감소하는 ‘돌발성 난청’, 달팽이관 신경세포를 파괴하는 약물에 의한 약물 독성 난청, 메니에르병이나 만성 중이염에 의한 합병증, 뇌종양에 의한 신경 손상 등이 있다.

가천대 길병원 이비인후과 선우웅상 교수는 난청을 단순한 청력 문제로만 치부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선우 교수는 “청각 세포는 한 번 손상되면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젊은 나이에 생긴 난청도 영구적일 수 있다”며 “실제로 20~30대 사이에서도 고주파 대역에서 청력 저하가 관찰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난청이 건강에 위험한 또 다른 이유는, 청력 저하가 뇌의 인지 기능과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소리를 잘 못 듣게 되면 두뇌의 언어 처리 기능이 떨어지고, 사회적 고립감이나 우울감이 함께 나타난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실제로 치매 위험이 눈에 띄게 증가한다.

실제로 해외 연구에 따르면, 중등도 이상의 난청이 있는 노인의 경우 치매 발병 위험이 2~5배까지 높아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세계보건기구(WHO)도 난청을 치매의 주요 위험요인 중 하나로 공식 지정한 바 있다.

선우 교수는 “난청도 다른 질환과 같이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하다. 정기적인 청력 검사를 통해 현재 건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상 징후가 있다면 이비인후과 전문의를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면서 “또 난청으로 확진되면 즉시 보청기를 착용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최근 보청기는 소리 증폭 기능뿐 아니라 말소리와 배경 소음을 구분해주는 기능까지 탑재돼 있어 실사용자 만족도도 높다. 그러나 보청기는 단순히 착용했다고 효과를 볼 수는 없다. 반드시 개인 맞춤형 조정과 청각 재활이 함께 진행돼야 높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선우 교수는 “청력은 눈처럼 수치로 쉽게 확인되지 않아 간과하기 쉽지만, 우리 삶의 중심을 지탱하는 중요한 감각”이라며 “정기적인 검진과 꾸준한 관심, 그리고 필요할 때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건강과 삶의 질을 지키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규모 총파업·관세 폭탄…韓 제조업 뿌리가 흔들린다
  • "주 4.5일제, 중소제조업에겐 '그림의 떡'…생산성·인건비 부담"
  • 폐기 관측 깨고 통합 '에이전트'로…삼성 AI, 이렇게 진화했다
  • 홍명보호, 한일전 패배…동아시안컵 우승 헌납
  • "경영권 방어 방패 사라진다"… 자사주 많을수록 큰 타격
  • 범접, '스우파3' 충격 탈락
  • 범여권도 등 돌린 강선우·이진숙…대통령실 '침묵' 이유는
  • 단독 "공무원짓 자괴감"…청문회 '질의 폭탄'에 뿔난 기재부
  • 오늘의 상승종목

  • 07.16 14:5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320,000
    • +0.72%
    • 이더리움
    • 4,305,000
    • +6.32%
    • 비트코인 캐시
    • 682,000
    • +1.72%
    • 리플
    • 3,994
    • +2.07%
    • 솔라나
    • 223,200
    • +2.2%
    • 에이다
    • 1,015
    • +2.63%
    • 트론
    • 411
    • +0.24%
    • 스텔라루멘
    • 631
    • +2.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560
    • +15.03%
    • 체인링크
    • 21,960
    • +4.52%
    • 샌드박스
    • 428
    • +4.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