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너머] ‘오천피 약속’이 지닌 무게감

입력 2025-07-03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재명 대통령의 ‘오천피(코스피지수 5000포인트)’ 공약에 국민이 주목한 배경에는 간절함이 있다. 나날이 오르는 물가에 비해 요지부동인 근로소득만으로는 의식주를 해결하기 어려워진 시대에 돈이 나올 다른 구멍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부동산 시장이 국민에게 남긴 좌절감도 한몫했다. 부동산은 오랜 기간 한국 사회에 몇 없는 자산 증식 기회로 여겨졌다. 이제 부동산 진입 장벽은 대다수 국민이 엄두를 못 낼 만큼 높아졌다. 새 정부 부동산 대출 규제까지 겹치며 국민은 노후 대비는커녕 당장 몸 누일 곳, 먹고살 길을 둔 막막함에 사로잡혔다.

‘장기 우상향’에 대한 믿음을 가질 만한 자산군에 부동산뿐 아니라 주식시장까지 포함된다면, 국민으로서는 희소식일 수밖에 없다. 멀리 보면 나 하나 평생 건사하는 일을 넘어, 인생을 함께 보낼 가족을 꾸리는 일이 손에 잡힐 수 있다는 희망도 안길 수 있다. 서민과 중산층의 튼튼한 자산 기반이 저출생·저성장 돌파구로 기능할 수 있다는 의미다.

그렇기에 새 정부는 오천피를 입에 담았다는 사실의 무게감을 온전히 느끼고 한국 증시 가치를 끌어올리는 데 유효한 역할을 해야 한다. 어느 정권이나 그랬듯, 결과물이 모든 것을 증명한다. 아무리 정책에 선하고 합리적인 의도가 담겼다 한들 성과가 초라하면 정부를 향한 불신만 커질 뿐이다.

‘허니문 효과’로 시작은 상쾌했다. 최근 한국 증시에 기관과 외국인의 자금이 몰리는 이유는 한국이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재정을 푸는 주요국으로 꼽혀서다. 이재명 정부 출범 직후 30조 원 규모 추가경정예산 편성이 추진되자 투자자들은 즉각 반응했다. ‘유럽의 병자’로 불리던 독일이 대규모 경기 부양을 추진하며 연초 이후 증시 랠리를 톡톡히 누린 것과 같은 맥락이다.

새 정부 효과가 단기에 그치지 않으려면 한국 증시를 한층 매력적인 투자처로 업그레이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시장 자율성이라는 ‘금기’를 넘지 않으면서도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묘책을 마련하는 것은 기본 중 기본이다. 정부는 우선 상법 개정으로 시장 질서를 바로잡고 글로벌 산업을 주도하는 인공지능(AI) 분야를 육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 구체적 결과가 시장과 국민 눈높이에 못 미칠 경우, 정부 청사진이 정치적 수사에 그쳤다는 눈총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멕시코産에 30% 관세"⋯ 삼성ㆍLGㆍ현대차, 美 수출전략 '리스크' 확대
  • 고기, 계란, 생선, 수박까지 금값⋯‘장봐서 해먹느니 HMR 산다’
  • 월가 멘토들, 시장 낙관론에 일침…“트럼프 불확실성에도 자만 만연”
  • 日, 조선·철강 ‘부활’ 시동…K-산업계는 ‘긴장 고조’
  • '금강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한반도 정신문화 깊이 스며 있어
  • 김준호♥김지민, 13일 결혼식 현장 포착⋯공주님 에스코트하는 팔불출
  • 사사건건 ‘법적 수단’ 동원 尹, 이번에는 구속적부심 카드 꺼낼까
  • 제1180회 로또당첨번호조회 ‘1등 11명 당첨’…당첨지역 ‘경기 3곳ㆍ경남 2곳ㆍ부산 1곳 등’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0,037,000
    • +0.31%
    • 이더리움
    • 4,013,000
    • -0.02%
    • 비트코인 캐시
    • 687,000
    • -2.07%
    • 리플
    • 3,794
    • +0.26%
    • 솔라나
    • 220,400
    • +0.23%
    • 에이다
    • 1,002
    • +2.77%
    • 트론
    • 408
    • -0.73%
    • 스텔라루멘
    • 593
    • +12.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730
    • -0.45%
    • 체인링크
    • 20,880
    • +1.16%
    • 샌드박스
    • 399
    • +2.0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