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3년 6개월 만에 3000선 탈환…시총 2472조 역대 최고

입력 2025-06-20 17: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피가 5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3000선을 돌파한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4.10(1.48%)포인트 상승한 3021.84를 나타냈다. 코스피가 3000선을 넘긴 건 2022년 1월 3일(3010.77) 이후 3년 5개월여 만이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가 5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3000선을 돌파한 2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4.10(1.48%)포인트 상승한 3021.84를 나타냈다. 코스피가 3000선을 넘긴 건 2022년 1월 3일(3010.77) 이후 3년 5개월여 만이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 지수가 3000선을 탈환했다. 올해 들어 연초 저점 매수세 유입 및 트럼프 정부의 관세 유예 등으로 상승 전환한 후, 대선을 기점으로 상승세가 지속한 덕분이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종가 기준 3021.94로 장을 마쳤다. 2021년 12월 28일 이후 3년 6개월여 만에 3000선을 회복한 것으로, 시가총액도 2472조 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한국거래소는 새 정부 정책 기대감 및 외국인 수급 개선 등의 요인이 코스피 상승의 주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새 정부 출범에 따라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증시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투자심리 개선됐다는 설명이다.

외국인은 지난해 8월 이후 9개월 연속 순매도했지만, 올해 5월 말 순매수로 전환했다. 6월 들어 매수 폭이 확대됐으며, 주로 전기·전자, 운송장비·부품, 금융 업종을 중심으로 순매수(5월 1일~6월 20일 장 마감 기준)를 이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한국거래소)
(출처=한국거래소)

한편, KOSPI는 대선일을 기점으로 연일 연고점을 경신 중으로, 6월 상승률(10.2%)은 G20 국가 중 1위를 기록 중이다. 연초로 시계열을 넓혀도 G20 국가 중 2위(24.1%)에 해당한다.

2021년과 비교했을 때는 투자환경이 달라졌다. 2021년은 코로나 위기 타개를 위한 글로벌 유동성 장세 등 외부 요인이 큰 영향을 미쳤지만, 올해는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및 새 정부의 증시 활성화 정책에 대한 기대감 등 내부 요인이 큰 영향을 미쳤다.

투자 주체도 달라져 2021년에는 동학개미운동으로 대표되는 개인이, 올해는 기관과 외국인이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증시에 영향을 미치는 금리, 유가 및 지정학적 리스크 등 대외환경은 2021년보다 악화한 측면이 있으나, 최근 원화 강세 추세,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 및 美 연방준비은행의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 등은 증시 상승 기대요인으로 꼽힌다.

한국거래소는 추가랠리 기대감이 큰 가운데 일부 경계 요인이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새 정부의 주주 친화 정책, 불공정거래 근절 등 자본시장 활성화 의지가 확고하고, 허니문 랠리에 대한 기대심리 존재하는 상황이다. 다만, 단기 상승에 따른 차익 시현 수요와 미국 경제지표 악화나 관세 협상, 중동 정세 불안 등 대외환경 악화 시 단기 조정 가능성도 공존한다.

(출처=한국거래소)
(출처=한국거래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451,000
    • +1.01%
    • 이더리움
    • 3,980,000
    • -0.28%
    • 비트코인 캐시
    • 690,500
    • -3.02%
    • 리플
    • 3,680
    • -1.92%
    • 솔라나
    • 216,100
    • -1.46%
    • 에이다
    • 949
    • -3.16%
    • 트론
    • 409
    • +1.49%
    • 스텔라루멘
    • 527
    • +5.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970
    • -2.73%
    • 체인링크
    • 20,300
    • -3.01%
    • 샌드박스
    • 382
    • -3.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