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풀고 강남 일대 주택 공급에 속도를 내기 위한 본격적인 작업에 착수한다.
18일 서울시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해 7월 서리풀 공공주택지구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전략환경영향평가가 실시될 예정이다. 이는 지난해 8·8 주택공급 대책의 후속 조치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해 8·8 주택공급 방안의 일환으로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신규 택지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대책의 후속조치로 지난해 11월 서울 서리풀·고양대곡 역세권·의왕 오전왕곡·의정부 용현 등 4개 지구의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통해 5만 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발표했다. 당시 2026년 상반기 이전 지구지정을 마치고 2029년 분양, 2031년 입주라는 청사진도 함께 제시했다.
국토교통부는 이달 16일 관계부처 협의회를 거쳐 그린벨트 해제 후 공공주택지구 지정을 위한 전략환경영향평가 항목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 정부가 공공 중심의 주택 공급 확대 의지를 내비친 만큼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공공주택지구 선정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부는 내달까지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제출해 서리풀지구 지정을 위한 밑작업을 마무리 하겠다는 목표다.
AI 추천 뉴스
서리풀 공공주택지구는 서초구 원지동·신원동·염곡동·내곡동·우면동 일대로 현재 그린벨트로 묶여있다. 강남 생활권으로 수요도가 높은 데다 해당 지구에서만 2만가구 공급이 예상돼 관심이 높은 곳이다. 신분당선 청계산입구역과 양재역 이용이 가능하며, 경부고속도로(양재·선암IC)와 분당내곡도시고속도로(내곡IC),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등을 통해 강남과 판교 업무지구 접근도 용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