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로봇기업, 글로벌 로봇 산업서 주목 …AI 응용 분야 확산 주도주”

입력 2025-06-18 09: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제윤 삼성전자 이사회 의장과 사외이사들이 19일 경기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삼성전자 제56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로봇을 살펴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날 주주총회에서 주주체험 강화를 위해 삼성전자 AI Home, 볼리(Ballie), 차세대 디스플레이, 갤럭시 AI, 의료기기, 하만 전장과 오디오 등을 전시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신제윤 삼성전자 이사회 의장과 사외이사들이 19일 경기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삼성전자 제56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로봇을 살펴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날 주주총회에서 주주체험 강화를 위해 삼성전자 AI Home, 볼리(Ballie), 차세대 디스플레이, 갤럭시 AI, 의료기기, 하만 전장과 오디오 등을 전시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신한투자증권은 18일 글로벌 로봇산업 혁신 속에서 국내 기업들이 최전선에 설 가능성이 높다며 인공지능(AI)응용이 주도주가 된다면 로보틱스, AI 섹터 산업의 상승 초입이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로봇 기업이 글로벌 로봇산업 관점에서 먼저 주목받을 것을 전망하며 로봇 관련 최선호주로 로보티즈, 고영, 현대무벡스를, 관심종목으로 레인보우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씨메스, 클로봇을 제시했다.

최승환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반도체, 조선, 자동차 등 대규모 노동력과 고난이도 작업이 필요한 제조업이 발달해, 로봇 수요가 구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한국은 전세계 로봇설치의 6%, 전세계 협동로봇 판매의 4.4%를 차지하는 세계 4위의 산업용 로봇 시장이다. 최근 들어 고령화와 생산가능 인구 감소, 인건비 상승은 로봇 도입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최 연구원은 "이는 우리나라의 로봇 기술이 실제 필드에서의 신기술 검증이나 상용화에 앞서 나갈 수 있는 배경"이라며 "로보티즈는 휴머노이드, 피지컬AI 로봇의 핵심 액추에이터를 내재화한 기업으로, 글로벌 기업 양산 시 폭발적인 매출성장이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고영은 반도체 고난이도 후공정 부문의 검사로봇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동시에, 올해 1월 FDA 승인을 받은 수술로봇의 첫 해외 판매가 임박했고, 현대무벡스는 무인화, 효율화를 지향하는 유통 및 제조 대기업의 투자가 본격화하고 있다.

특히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국내 로봇산업 투자심리를 좌우할 대표주로 주목했다. 최 연구원은 "최근 Figure AI, Unitree 등 글로벌 휴머노이드 기업 몸값 상승세 속 레인보우로보틱스를 향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161,000
    • -0.54%
    • 이더리움
    • 3,987,000
    • -2.4%
    • 비트코인 캐시
    • 696,000
    • -2.18%
    • 리플
    • 3,751
    • +6.87%
    • 솔라나
    • 219,900
    • -1.96%
    • 에이다
    • 965
    • +1.79%
    • 트론
    • 410
    • +2.24%
    • 스텔라루멘
    • 509
    • +22.06%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430
    • -4.11%
    • 체인링크
    • 20,510
    • -2.75%
    • 샌드박스
    • 390
    • -2.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