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보험사 지급여력비율 역대 최저⋯200% 아래로

입력 2025-06-17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97.9% 기록 전분기 대비 8.7%p↓
가용자본은 소폭 증가… 요구자본은 6조 늘어
보장성보험 위험액 증가·ALM 미스매칭이 영향

(자료제공=금융감독원)
(자료제공=금융감독원)
올해 3월 말 기준 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K-ICS)이 전 분기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 보장성보험 판매에 따른 장해·질병 위험액이 늘어나면서다.

1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3월 말 기준 보험회사 지급여력비율 현황’에 따르면 경과조치 적용 후 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K-ICS)은 197.9%로 전 분기(206.7%) 대비 8.7%포인트(p) 하락했다.

생명보험사(190.7%)와 손해보험사(207.6%)는 각각 전 분기 대비 12.7%p, 3.4%p 낮아졌다.

회사별는 동양생명(127.2%), 푸본현대생명(145.5%), 롯데손보(119.9%), MG손보(-18.2%)가 감독기준인 150%를 하회했다.

대형생보사들도 삼성생명(177.2%), 교보생명(186.8%), 한화생명(154.1%) 등의 지급여력 비율이 각각 7.7%p, 33.9%p, 9.7%p 떨어졌다.

대형 손보사는 삼성화재(266.6%), DB손보(204.7%), 현대해상(159.4%) 등은 각각 2.1%p, 1.6%p, 2.4%p 상승했지만 메리츠화재(238.9%)와 KB손보(182.2%)는 각각 9.3%p, 4.3%p 하락했다.

지급여력비율(K-ICS) 하락은 보험사의 가용자본은 소폭 늘어난 반면 요구자본이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3월 말 기준 가용자본은 249조3000억 원으로 전 분기보다 1조3000억 원 늘었다. 당기순이익 시현과 자본증권 신규 발행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같은 기간 요구자본은 126조 원으로 5조9000억 원 증가했다. 이는 장기 보장성보험 판매 확대로 장해·질병 위험액이 3조 원 늘었고, 자산·부채종합관리(ALM) 미스매칭 확대로 인해 금리 위험액이 1조7000억 원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금감원은 최근 기준금리 인하 등에 따라 저금리 기조 지속이 전망되는 만큼 금리하락에 대비한 ALM 관리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ALM 관리가 미흡한 보험회사를 중심으로 리스크관리를 강화할 수 있도록 철저히 감독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최대 40만 원 인상’ 국가장학금…올해 2학기부터 얼마나 늘까? [경제한줌]
  • 여름 제철 ‘냉면 값’, 전국 광역지자체 대부분 1만원 웃돌아 [물가 돋보기]
  • 충청 이어 남부도 ‘물폭탄’ 예고…폭우 뒤엔 폭염 다시 찾아온다
  • 강선우·이진숙 ‘버티기’ 돌입...주말이 고비
  • 檢, 공소사실 추가했지만…대법 "이재용 혐의 전부 무죄"
  • 스타벅스, 또 프리퀀시 대란⋯불만 속출에도 ‘시스템 탓’
  • "통장 3개 중 1개 서울로"… 청약시장 수도권 쏠림 뚜렷
  • 엔비디아 훈풍에 잘나가던 반도체株…하이닉스 급락에 제동 걸리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7.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880,000
    • -0.54%
    • 이더리움
    • 4,658,000
    • +5%
    • 비트코인 캐시
    • 676,000
    • -0.22%
    • 리플
    • 4,433
    • +8.84%
    • 솔라나
    • 237,400
    • +2.68%
    • 에이다
    • 1,095
    • +6.52%
    • 트론
    • 431
    • +4.36%
    • 스텔라루멘
    • 633
    • -0.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150
    • -3.81%
    • 체인링크
    • 23,350
    • +2.95%
    • 샌드박스
    • 433
    • +1.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