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미국 AI 로봇 기업 스킬드AI와 손 잡았다

입력 2025-06-17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스킬드 AI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확보 위해 투자 ···전략적 협력
산업 현장에 최적화된 AI 휴머노이드 로봇 솔루션 개발

LG CNS는 미국 AI 로봇기업 ‘스킬드 AI(Skild AI)’와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하고 투자도 단행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산업용 AI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선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스킬드 AI는 AI 로봇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AI 로봇기업이다. 공동 창업자인 디팍 파탁(Deepak Pathak), 아비나브 굽타(Abhinav Gupta)는 컴퓨터 공학 및 로봇 과학 분야에서저명한 카네기멜론대학교의 교수 출신이다.

스킬드 AI의 핵심 기술은 로봇의 행동을 결정하는 두뇌 역할을 하는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이다. 이 모델은 이미지, 텍스트, 음성, 영상 등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해 로봇이 자율적으로 탐색하고, 물체를 조작하고,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하는 고도화된 작업을 가능케 한다. 휴머노이드 로봇 뿐만 아니라 모든 형태의 로봇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최근 삼성전자를 비롯해 한화, 미래에셋 등이 스킬드AI에 500만~1000만달러씩 투자했다. LG CNS측은 국내에서 스킬드AI와 전략적 협력 계약을 맺는 건 자사가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투자는 LG의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 LG테크놀로지벤처스를 통해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투자금액은 밝히지 않았으나, LG CNS 관계자는 "100억 원 가까운 규모"라고 말했다.

LG CNS는 이번 전략적 협력을 통해 스킬드 AI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의 산업용 AI 휴머노이드 로봇 솔루션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 솔루션은 제조, 물류 등 산업 현장의 데이터로 파인튜닝돼 기존 로봇이 하기 어려웠던 다양한 작업을 지원한다. 기존에는 로봇을 작동시키기 위해 각 업무별로 모델을 개발·제어해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됐다면,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은 산업 현장의 업무 사진·영상 데이터만으로 빠르게 학습해 자율적으로 행동한다. 산업용 AI 휴머노이드 로봇은 공장 설비 모니터링과 운영, 제품 조립, 유해물질 투입, 물류센터의 물품 피킹·적재 작업 등 반복적이고 고강도이며, 위험한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심 환경에서는 노약자 케어, 순찰 업무 등 서비스형 로봇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LG CNS는 스마트팩토리, 스마트물류,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산업 영역의 고객을 대상으로 ‘AI 휴머노이드 로봇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서비스는 △스킬드 AI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LG CNS가 자체 개발한 로봇 제어·관리·운영 통합 플랫폼 및 스마트팩토리·물류·시티 솔루션 △로봇 하드웨어 등으로 구성된다. 하드웨어의 경우, 로봇 제조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진행될 예정이다.

이준호 LG CNS 스마트물류&시티사업부장 상무는 “글로벌 톱 로봇 AI 기업인 스킬드 AI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과 LG CNS의 로봇 솔루션 기술력을 결합해 최고의 지능형 AI 로봇 서비스 기업이 되겠다”며, “AI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고객의 업무를 지능화하고, 비즈니스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특허청과 UDC 기술 공유”…LG디스플레이, 차세대 기술 확보 사활
  • “러브버그는 익충이기라도 하지…” 해충 미국흰불나방 출몰 경보
  • "하루의 낙인데"…유튜브 AI 제동, '김햄찌' 채널도 막힐까? [솔드아웃]
  • “사라진 장마, 계속되는 폭염…한국 날씨에 무슨 일이?”
  • 신약개발 비용·시간 상당한데…‘오가노이드’ 기술 확보 각축전
  • 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경영계 "민생경제 어려운 현실, 고심 끝 합의"
  • 7월 17일 제헌절, 공휴일에서 빠진 이유
  • ‘전세난’에…“차라리 청약” 눈돌리는 실수요자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8,006,000
    • +0.7%
    • 이더리움
    • 3,987,000
    • -0.5%
    • 비트코인 캐시
    • 714,000
    • +2.07%
    • 리플
    • 3,678
    • +7.17%
    • 솔라나
    • 217,700
    • -1.45%
    • 에이다
    • 959
    • +6.08%
    • 트론
    • 403
    • +2.03%
    • 스텔라루멘
    • 489
    • +19.56%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360
    • -0.48%
    • 체인링크
    • 20,690
    • +1.12%
    • 샌드박스
    • 390
    • +2.0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