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 올렸어요?"…골프라운딩 첫걸음의 의미 [골프더보기]

입력 2025-06-16 17: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골프 세계에 새로 입문한 분들이라면 “머리 올렸어요”라는 표현 한 번쯤 들어보셨죠? 첫 필드 라운딩을 마치면 주변 분들이 “축하해요, 머리 올렸네요!”라며 박수를 보내지만 사실 이 말에는 뜻밖의 역사와 문화적 뿌리가 숨어 있습니다. 도대체 이 말은 어디서 왔을까요? 또 해외에서는 이런 표현을 쓸까요? 오늘은 ‘머리 올렸어요’라는 골프 용어의 유래부터 한국과 외국의 골프 입문 문화 차이까지 흥미로운 이야기를 풀어드리겠습니다.

“머리 올리다”…알고 보면 기생 문화에서 비롯된 말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머리 올리다’는 원래 전통 기생 문화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옛날에는 기생이 정식으로 첫 접대를 하기 전까지는 아이처럼 단정한 머리를 했지만, 첫 손님을 받는 날에는 머리를 틀어 올리는 예식을 치렀습니다. 이를 두고 “머리를 올렸다”라고 표현했지요.

이 말이 골프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초보 골퍼가 처음 필드에 나가는 순간을 ‘정식 데뷔’에 비유하면서입니다. “머리 올렸어요”의 의미는 곧 "정식 골퍼예요”라는 말로 초보자가 처음 필드에서 라운딩을 마쳤다는 걸 축하하는 일종의 은어가 된 것입니다.

이제는 이 말이 너무 자연스럽게 쓰이다 보니 정작 어디서 왔는지는 모르고 사용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결혼한 여인도 머리를 올린다고 했었기에 단순히 '중요한 첫 시작'이라는 과정을 뜻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언제부터 썼을까요?…은근히 오래된 표현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머리 올리다’라는 표현이 골프에서 언제부터 쓰였는지 정확한 시점은 찾기 어렵지만 1990년대 골프 붐과 함께 입문자들이 늘면서 자연스럽게 대중화됐습니다. 골프가 한때 ‘특권층의 스포츠’로 여겨지던 시절 골프를 먼저 시작한 분들이 필드 라운딩을 ‘인정의식’처럼 치러주는 문화가 있었는데, 그 과정에서 이 말도 함께 퍼지게 된 것입니다. 어느덧 골프 문화에 깊이 자리 잡은 이 표현은 2000년대 이후에는 골프장 캐디·레슨 프로·동호회에서도 흔하게 쓰이는 용어가 됐습니다.

하지만 요즘 들어선 “표현 자체가 좋지 않다”는 지적도 있으며 일부에서는 사용을 자제하거나 다른 표현으로 바꾸는 분위기도 감지됩니다.

그렇다면 해외에서는 어떤 표현을 쓸까?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해외에서는 ‘머리 올렸다’는 말은 전혀 사용하지 않습니다. 다만 영어권에서는 단순히 1차원 적으로 표현하는 “퍼스트 라운드(first round)” 또는 “퍼스트 타임 온 더 코스(first time on the course)”, “데뷔 라운드(debut round)” 같은 표현을 쓴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Today’s my first round ever(오늘이 제 생애 첫 라운딩이에요)”, “He just had his debut on the course(그는 이제 막 필드 데뷔를 했어요)” 이렇게 사실 위주로 담백하게 표현합니다.

미국이나 영국 등지에서는 입문자를 기념하거나 지나치게 각별하게 챙겨주는 문화는 거의 없고 오히려 자연스럽게 ‘한 사람의 골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입니다. 예의는 갖추되 골프라는 스포츠에 대해 “누구나 할 수 있다”는 평등한 인식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지요.

특히 한국과 문화적으로 가까운 일본에서도 ‘머리 올리다’에 해당하는 표현은 없습니다. 그러나 일본 역시 첫 필드 라운딩을 중요한 개인 이벤트로 여기는 경우가 많고 ‘나의 첫 골프장’에 대한 후기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리거나 간단한 선물(골프공·볼마커)을 교환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역시나 그 자체가 의례로 고정된 문화는 아니라는 점에서 한국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한국 골프 문화만의 ‘정’과 ‘의식’이 담긴 말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그렇다면 한국만의 ‘머리 올리다’라는 표현은 왜 생겼을까요? 이는 단지 골프를 스포츠로만 보는 게 아니라 하나의 '관계의 입문'으로 여기는 문화적 차이 때문입니다.

한국에서는 필드 라운딩이 비즈니스 미팅·사교·인맥 형성의 중요한 장면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 첫걸음을 기념하고 함께 해준 사람들에게 고마움을 전하는 방식으로 “머리 올리다”라는 표현이 사용된 것입니다. 실제로 많은 골프 입문자들이 첫 라운딩을 할 때 “선배님들이 함께 해줘서 감사하다”고 말하거나 작은 선물을 준비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처럼 한국적 ‘정’이 묻어나는 풍습이 골프 용어에까지 스며든 것이라고 볼 수 있죠.

요즘은 다른 표현으로 바꾸려는 움직임도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최근에는 ‘머리 올리다’라는 말이 성별 고정관념을 떠올리게 한다는 이유로 바꾸려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실제로 여성 골퍼들 사이에서는 “듣기 거북하다”라는 의견이 나오기도 하고, 배우 이성경 씨도 과거 한 예능에서 “표현 뜻을 알고 나서는 쓰지 않는다”라고 언급하며 조심스러운 분위기도 조성됐는데요.

이에 일부 골프 강사나 커뮤니티에서는 “첫 라운딩”이나 “필드 데뷔”라는 말로 대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이 “머리 올리셨어요?”라는 말을 친근하게 받아들이고 골프 입문을 축하하는 인사로 쓰는 것도 사실이지만 이젠 '첫 라운딩'과 같은 단순한 표현으로 대체하는 게 바람직해 보이지 않을까요?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광주서 10대 추락 사고, 지나가던 모녀 참변
  • 야닉 시너 윔블던 8강행, 디미트로프 부상 기권
  • 韓 기업 3곳 중 1곳만 ‘AI 기본법’ 이해한다는데…시행령에 쏠리는 눈
  • "그래도 2분기가 바닥"…삼성전자, 반도체 부진에 '어닝쇼크'
  • AI 도서 판매 3년 연속 증가⋯1위는 유발 하라리 '넥서스' [출판·번역시장도 AI바람 ①]
  • 대체재 많은데…‘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후발주자 급증
  • "공이 빨라 인마" 김성근의 질책…'불꽃야구' 성남고 1차전 결과는?
  •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8월 1일까지로 연장⋯한ㆍ일 등 14개국 서한 공개
  • 오늘의 상승종목

  • 07.08 13:3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530,000
    • -0.83%
    • 이더리움
    • 3,472,000
    • -1%
    • 비트코인 캐시
    • 679,000
    • +0.22%
    • 리플
    • 3,093
    • +0.19%
    • 솔라나
    • 203,300
    • -1.83%
    • 에이다
    • 788
    • -1.38%
    • 트론
    • 392
    • +0%
    • 스텔라루멘
    • 339
    • -1.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33,920
    • +1.8%
    • 체인링크
    • 18,110
    • -1.95%
    • 샌드박스
    • 330
    • -1.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