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36개국 국민 입국 전면 금지ㆍ부분 제한 검토”

입력 2025-06-15 15: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9일부터 시행한 19개국 금지·제한에서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79번째 생일이자 미 육군 창설 250주년 기념일인 14일(현지시간) 미국 전역에서는 ‘반(反)트럼프 시위’가 벌어졌다. 텍사스주 오스틴 시내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대가 경찰 저지선 앞에 서 있다. 오스틴(미국)/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79번째 생일이자 미 육군 창설 250주년 기념일인 14일(현지시간) 미국 전역에서는 ‘반(反)트럼프 시위’가 벌어졌다. 텍사스주 오스틴 시내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대가 경찰 저지선 앞에 서 있다. 오스틴(미국)/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36개국 국민의 미국 입국을 전면 금지 혹은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조치를 고려 중이라고 미 국무부 메모를 인용해 14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9일부터 이란·예멘·아프가니스탄·미얀마·차드·콩고공화국·적도기니·에리트레아·아이티·리비아·소말리아·수단 등 12개국 국민의 미국 입국을 금지하고, 부룬디·쿠바·라오스·시에라리온·토고·투르크메니스탄·베네수엘라 등 7개국 국민의 미국 입국을 부분적으로 제한한다고 4일 발표한 것보다 대폭 확대 적용하려는 것을 의미한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정책에 대한 반대 시위가 격화되는 가운데서도 강경 기조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대상 국가 중에는 미국의 주요 파트너 국가인 이집트와 지부티를 포함한 25개 아프리카 국가, 카리브해ㆍ중앙아시아ㆍ태평양 섬 국가들이 포함돼 있다고 WP는 설명했다.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서명하고, 이날 해당 국가에 발송된 이 메모에는 국무부가 정한 새로운 기준과 요건을 60일 이내에 충족하기 위한 계획을 18일 오전 8시까지 제출하라고 요청했다.

이들 국가가 충족하지 못한 기준으로는 꼽은 내용을 보면 일부 국가는 신뢰할 수 있는 신분증명서나 민간 문서를 발급할 수 있는 유능하고 협조적인 중앙정부가 없거나, 광범위한 정부 부패 문제가 존재하고 있다고 지적돼 있다. 비자가 만료됐는데도 미국에서 초과 체류하는 국민 수가 많다는 문제점도 제기됐다. 기타 이유로는 일정 기간 거주해야 한다는 요건 없이 투자만 하면 시민권을 주거나, 미국에서 반유대주의 및 반미 활동을 하는 국민이 있는 있다는 이유도 적시됐다.

36개국을 구체적으로 보면 앙골라·앤티가바부다·베냉·부탄·부르키나파소·카보베르데·캄보디아·카메룬·코트디부아르·콩고민주공화국·지부티·도미니카·에티오피아·이집트·가봉·감비아·가나·키르기스스탄·라이베리아·말라위·모리타니·니제르·나이지리아·세인트키츠네비스·세인트루시아·상투메프린시페·세네갈·남수단·시리아·탄자니아·통가·투발루·우간다·바누아투·잠비아·짐바브웨 등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월 20일 대통령 취임 당일 미국 국무부를 포함한 정부 기관에 심사 및 검증 정보가 부족해 해당 국가 국민의 입국을 전면 또는 부분적으로 중단할 필요가 있는 전 세계 국가를 식별하라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830,000
    • -0.44%
    • 이더리움
    • 4,025,000
    • -1.64%
    • 비트코인 캐시
    • 706,000
    • -0.7%
    • 리플
    • 3,814
    • +7.95%
    • 솔라나
    • 220,400
    • -1.17%
    • 에이다
    • 985
    • +1.44%
    • 트론
    • 412
    • +2.74%
    • 스텔라루멘
    • 544
    • +29.83%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910
    • -1.1%
    • 체인링크
    • 20,830
    • -0.62%
    • 샌드박스
    • 395
    • -0.7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