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17.3% 늘었지만 승용차·석유제품 등 감소
美 관세폭탄에 대미 수출 14.6% 줄어…주요국 중 최대

3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 중인 한국 수출이 이달 마이너스로 전환될 우려가 커졌다. 미 관세폭탄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주요 수출국 중 미국으로의 수출이 최대 감소 폭을 보였으며, 반도체를 제외한 주요 품목 수출도 대부분 줄었다.
관세청이 21일 발표한 5월 1∼20일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319억65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감소했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12.5일로 지난해와 같았으며 이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6억2000만 달러로 이 역시 2.4% 줄었다.
한국 수출은 2023년 10월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이 플러스로 전환된 뒤 지난해 12월까지 1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왔으나, 1월에 그 흐름이 멈췄다가 2~4월 다시 3개월 연속 플러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관련 뉴스
이달 20일까지의 수출을 품목별로 보면 한국 수출의 기둥인 반도체가 17.3% 늘며 주요 품목 중 0.1% 보합세를 보인 선박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증가세를 보였다. 2위 품목인 승용차는 6.3%, 석유제품은 24.1%, 철강제품 역시 12.1%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미국 관세폭탄 여파가 본격화하면서 수출 2위국인 대미(對美) 수출이 52억5400만 달러를 기록, 14.6% 감소했다. 주요 국가 중 최대 감소 폭이다.
최대 수출국인 중국도 63억3900만 달러로 7.2% 줄었으며, 유럽연합(EU)로 향한 수출 역시 32억7800만 달러로 2.7% 감소했다.
이달 1∼20일 수입액은 322억1800만 달러로 2.5% 줄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2억53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으며, 올해 누적으로는 117억6800만 달러 흑자다. 월간 무역수지는 2023년 6월 이후 19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오다 올해 1월 적자로 돌아선 뒤 2월부터는 다시 3개월 연속 흑자 행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