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빈 마크로젠 CSO “유전자 분석이 건강한 노화 돕는 시대” [바이오포럼2025]

입력 2025-05-20 17: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승빈 마크로젠 최고과학책임자가 20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2025 K-제약바이오포럼’에서 ‘유전자 검사와 생성형 AI의 융합: $100 유전자 분석 기술로 열리는 정밀의학 100세 시대’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이투데이가 ‘헬시에이징(Healthy Ageing) 2025-모두를 위한 건강한 노화’를 주제로 마련한 올해 K-제약바이오포럼에선 노인성 질환 예방을 비롯해 항노화, 저속노화, 에이징 테크(Ageing-tech)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건강한 노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승빈 마크로젠 최고과학책임자가 20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2025 K-제약바이오포럼’에서 ‘유전자 검사와 생성형 AI의 융합: $100 유전자 분석 기술로 열리는 정밀의학 100세 시대’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이투데이가 ‘헬시에이징(Healthy Ageing) 2025-모두를 위한 건강한 노화’를 주제로 마련한 올해 K-제약바이오포럼에선 노인성 질환 예방을 비롯해 항노화, 저속노화, 에이징 테크(Ageing-tech)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건강한 노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유전자 검사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를 통해 건강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승빈 마크로젠 최고과학책임자(CSO)는 20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콘퍼런스센터에서 이투데이가 개최한 ‘2025 K-제약바이오포럼’에서 ‘유전검사와 생성형 AI의 융합: $100 유전자 분석 기술로 열리는 정밀 의학 100세 시대’ 발표를 진행했다. 이 CSO는 “DNA를 활용하면 자신의 건강 취약점을 빠르게 파악하고, 이에 기반을 둔 효과적인 질병 예방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건강 관리 목표는 수명 연장이 아닌, ‘건강 수명’ 연장으로 구체화했다. 건강 수명은 평균 수명에서 질병으로 몸이 아픈 기간을 제외한 기간이다. 노년층의 건강 수명이 길수록 고령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부담이 완화될 수 있다.

유전자 정보를 활용한 건강 관리는 전 세계 의학·바이오계 주안점으로 자리를 잡았다. 미국에서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개인의 유전자 정보를 분석하고, 빅데이터를 구축해 맞춤형 치료 또는 치료제를 개발한다는 목표로 2015년 정밀 의학 이니셔티브(Precision Medicine Initiative cohort program)를 마련한 바 있다.

마크로젠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술에 기반을 둬 소비자대상직접시행(DTC) 유전자 검사를 개발, 제공하고 있다. 총 129개 유전자 항목을 분석해 건강관리를 돕는 ‘젠톡’이 대표적이다. 획일적인 메시지가 아닌, 개인의 검사 결과에 기반을 둔 맞춤형 가이드를 제공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AI기반 유전상담 챗봇을 운영하며 검사 결과에 대한 추가 설명과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한다.

이 CSO는 “유전자 검사에 따른 솔루션은 DNA 검사에 기반을 둔 퍼즐 조각의 하나”라며 “생활 습관, 인종, 다른 여러 요인이 함께 고려된 상태에서 건강 가이드라인을 받아야 의미가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젠톡은 챗봇을 활용해 개인 맞춤형 가이드를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고령화 사회에서는 결국 생물학적 나이와 달력으로 셀 수 있는 나이는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라며 “현재 혈액에서 DNA 후성유전체 패턴을 보거나 프로틴 프로파일링을 통해 개인의 생물학적 나이를 계산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큰 질병에 걸리거나 외부적인 충격을 받게 되면 생물학적 커브가 뒤처지기 시작한다”라며 “검사를 통해 내가 어느 지점에 있는지 확인하고, 뒤처지는 부분에 대해 신속히 개입해 건강한 노화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스코이앤씨, 용산정비창 빠른 사업·대형 평형 극대화 '철의 약속'
  • '소집 해제' 슈가, 직접 인사 전했다…"음주운전, 멤버들에게도 미안" [전문]
  • 트럼프 “대이란 공격 결정 2주가 최대...이란에 정신 차릴 시간 주고 있다”
  • [시승기] ‘조용하고 강한 SUV’…신형 넥쏘, 주행감에 놀라고 효율에 두 번 놀라
  • "새 아파트 살래요"...5년 이하 신축에 쏠리는 수요자들
  • 장마와 함께 돌아온 원조 '좀비물'⋯근원적 공포 표현한 '28년 후' [시네마천국]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시즌 중간 결산 대회…‘2025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우승 후보는? [딥인더게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000,000
    • -0.2%
    • 이더리움
    • 3,374,000
    • -2.77%
    • 비트코인 캐시
    • 656,000
    • -3.39%
    • 리플
    • 2,955
    • -0.47%
    • 솔라나
    • 195,500
    • -2.49%
    • 에이다
    • 815
    • -0.12%
    • 트론
    • 380
    • +0.53%
    • 스텔라루멘
    • 339
    • -1.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860
    • -2.17%
    • 체인링크
    • 17,640
    • -1.18%
    • 샌드박스
    • 349
    • +0.29%
* 24시간 변동률 기준